조직검사 결과 곤지름 6번, 1년간 재발 경험 없을 때 고위험군 여부 판단 가능한가요?
조직검사를 하여 곤지름 6번이 나오고 1년동안 재발한 적이 한 번도 없습니다 이러하다면 고위험군은 어느정도 안 걸렸다고 생각해도 되나요?
조직검사를 하여 곤지름 6번이 나오고 1년동안 재발한 적이 한 번도 없습니다 이러하다면 고위험군은 어느정도 안 걸렸다고 생각해도 되나요?
곤지름은 주로 저위험군 HPV에 의해 발생하며, 이 중 6번과 11번이 대표적입니다. 고위험군 HPV는 자궁경부암 등의 암을 유발할 수 있는 유형을 말합니다. 조직검사 결과 곤지름 6번이 나왔고 1년 동안 재발하지 않았다면, 현재 상태에서는 고위험군 HPV에 감염되었을 가능성은 낮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HPV 감염 여부와 고위험군 여부는 별개의 문제이기 때문에, 정확한 판단을 위해서는 추가적인 HPV 유형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곤지름이 재발하지 않았다고 해서 완전히 안심할 수는 없으며,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건강 상태를 지속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곤지름이 재발하지 않는다고 해서 고위험군 HPV 감염이 없다고 단정 지을 수는 없으므로, 전문의와 상담을 통해 정확한 진단과 조언을 받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1.곤지름 잠복기 1년 6개월 이상은 불가능한거죠? 2.고위험군 hpv는 성적인 경로 외에는 감염 불가하고 저위험군 hpv는 비성적인 경로로 감염 가능한거 맞죠? 3.비성적인 경로로의 hpv 감염 흔한가요? 4.성경험이 전혀 없는 남녀가 서로 첫 구강성교를 포함한 성경험을 한 경우 고위험군 hpv는 감염될 수가 없는거죠?비성적인 경로로 고위험군 hpv감염은 불가능하니까요 5.마지막 관계 후 1년 6개월이 지났습니다 그동안 가려움증,생식기 주변 병변이나 사마귀도 없었고 질염 증상조차 없었습니다 이번에 질 속에 손가락 넣어서 확인해보니까 자궁경부,질 내부에 뭐 난 거 아무것도 없이 깨끗해요 이정도면 잠복기 한참 지났으니까 곤지름은 생길 수가 없죠?지금까지 안 생긴거면 곤지름은 없는거죠?
1.곤지름이 질 속이나 자궁경부, 항문 안 처럼 외부에 생기지 않은 경우에는 증상을 못 느끼나요? 아니면 내부에 곤지름이 생기더라도 간지러움 같은 증상을 느끼나요? 2.곤지름 잠복기 최소와 최대 알려주세요 3.곤지름 잠복기가 4년인게 가능한가요? 4.곤지름 잠복기가 3년인게 가능한가요? 5.곤지름 잠복기가 1년 반인게 가능한가요 6.곤지름이 지속되면 암이 되나요? 7.곤지름을 유발하는 저위험군 hpv바이러스는 비성적인 경로로 감염이 가능해도, 암을 유발하는 고위험군 바이러스는 비성적인 경로로의 감염이 불가한가요? 8.마지막 관계 후 1년 6개월이 지났는데 사마귀나 병변이 하나도 나타나지 않았어요 가려움증이나 질염증상조차 생긴 적이 없는데 곤지름 걱정은 안 해도 되나요? 9.성관계 상대 남자는 지금까지 살면서 한 번도 사마귀가 생긴 적이 없다고 해요 그러면 곤지름 걱정 안 해도 되나요? 10.한 번도 사마귀가 생긴 적 없는 남자는 곤지름을 옮기지 않나요?곤지름 감염자가 아닌가요?
1.비성적인 경로로의 고위험군 hpv 감염은 이론적으로는 가능하나 실제로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 거 맞나요? 2.비성적인 경로로의 고위험군 hpv 감염은 과학적으로 입증된 바 없는 거 맞나요? 3.비성적인 경로로의 고위험군 hpv 감염은 과학적 증거가 없는 거 맞나요? 4.마지막 관계 후 1년 6개월이 지났는데 자궁경부와 질, 외음부에 뭐 난 것이 하나도 없으면 성적인 경로로의 곤지름 발병은 걱정 안 해도 되나요? 곤지름 잠복기가 1년은 못 넘는다고 해서요 5.남자가 여자보다 비성적인 경로로 고위험군 hpv 감염될 확률이 적은가요? 아니면 높은가요? 아니면 같은가요? 6.남자의 경우 비성적인 경로로의 고위험군hpv 감염은 거의 발생하지 않고, 성적인 경로로만 고위험군 hpv 감염이 가능한데 그마저도 성경험이 없어 성적인 경로로의 감염도 차단된다면 고위험군 hpv 보균자가 아니라고 보는게 맞나요? 7.고위험군 hpv의 수직감염은 얼마나 희박한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