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로의 기준은 어떻게 되나요?
과로 기준이 궁금해요 25살 남성이고 요식업 하고있습니다 아침 9시반에 일어나서 10시에 출근하구요 저녁 11시까지 합니다 주 6일출근하구요 하루 숙면시간은 6시간에서 6시간30분 정도됩니다 작년보다 자꾸 잠이옵니다 눈이피로한건지 정신이 피로한건지는 모르겠는데 직장에선 잠이 그렇게 오는데 퇴근하곤 막상 새벽에 늦게자요
과로 기준이 궁금해요 25살 남성이고 요식업 하고있습니다 아침 9시반에 일어나서 10시에 출근하구요 저녁 11시까지 합니다 주 6일출근하구요 하루 숙면시간은 6시간에서 6시간30분 정도됩니다 작년보다 자꾸 잠이옵니다 눈이피로한건지 정신이 피로한건지는 모르겠는데 직장에선 잠이 그렇게 오는데 퇴근하곤 막상 새벽에 늦게자요
진료가 필요한 상황인가요?
안녕하세요. 닥터나우 실시간 의료 상담 의료진입니다. 과로의 기준에 대해 문의주셨는데요. 문의 주신 부분에 대해 안내 드릴게요. 결론부터 말씀 드리자면 과로의 명확한 기준은 없고, 개인의 체력이나 피로도에 따라서, 현재 상황에서 극심한 피로도를 느끼신다면 과로로 볼 수 있어요. 자세히 설명 드릴게요. 현재 하루에 13시간 정도 근무를 하시고, 주 6일을 한다면 일주일에 근무 시간이 78시간 정도로 계산이 되는데요. 일반적인 직장인들의 하루 근무 시간이 8시간, 주 5일 근무로 총 40시간 정도 근무를 한다고 비교를 해보면, 매우 많은 시간을 일에 투자하고 계시네요. 해당 일과가 오랜 시간 반복된다면, 피로도가 계속 누적이 되어 작년에 비해서 심하게 졸리고 피로도를 크게 느낄 수 있어요. 또한 늦은 시간인 밤 11시까지 일을 하기 때문에 신체 리듬이 깨지고, 그에 따라 수면의 질이 떨어져 새벽에 늦게 자게 되고 대신 낮에 졸림이 유발될 수 있어요. 일터에선 졸리지만, 퇴근하면 긴장이 풀리면서 오히려 잠이 안 오는 스트레스성 불면의 가능성도 있을 것 같아요. 장시간 노동 후에는 회복을 하기 위한 깊은 수면이 더 필요한데, 현재 수면하시는 시간도 부족하신 것 같네요. 현재 상황은 확실히 과로하고 있으신 것으로 보여요. 이런 경우엔 최대한 짧은 시간의 수면이라도 수면의 질을 높이고, 한 시간이라도 수면 시간을 늘리는 것이 좋은데요. 퇴근 후 스마트폰 사용 줄이고 자기 전 30분은 조용한 루틴을 유지하는 것이 쉽게 입면하는 것에 도움이 되어요. 또한 일정한 시간에 자고 일어나는 것으로 수면 리듬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최소 7시간 이상 수면 확보 노력을 하시는 것이 좋으며, 낮 시간에 너무 피로하시다면 회복을 위하여 20~30분 정도 낮잠을 주무시는 것도 도움일 될 수 있어요. 틈틈이 몇 분간 눈을 감고 있는다거나 하는 정신적 휴식을 취해주시는 것도 좋습니다. 많이 불안하고 걱정되실 수 있겠지만, 너무 걱정하지는 마시고 휴식과 숙면을 취하여 좋은 컨디션을 회복하도록 노력해 보시면 좋을 듯해요. 질문자님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콘텐츠를 하단에 추천해 드릴게요. 닥터나우 '건강매거진' 콘텐츠도 읽어보시면 좋겠어요.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불면증의 치료, 원인, 증상, 도움 되는 생활습관까지 정리해왔어요.
목소리를 듣고 좋은 서비스를 제공해드릴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