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수술 후 광대 부어있고 통증 없음, 왜 그럴까요?
치과수술 이후 피하기종이 생겼었다가 오늘 CT 찍어보고는 공기가 보이지 않았습니다. 다만 턱쪽은 붓기가 다 빠졌는데 광대만 부어있어요 통증이나 열감은 없고 좀 땡겨요. 이건 왜 그런걸까요? 이부분만 붓기가 더딜수 있는건가요? 그리고 피하기종이 아니라면 왜 광대만 부어있는건지 궁금합니다
치과수술 이후 피하기종이 생겼었다가 오늘 CT 찍어보고는 공기가 보이지 않았습니다. 다만 턱쪽은 붓기가 다 빠졌는데 광대만 부어있어요 통증이나 열감은 없고 좀 땡겨요. 이건 왜 그런걸까요? 이부분만 붓기가 더딜수 있는건가요? 그리고 피하기종이 아니라면 왜 광대만 부어있는건지 궁금합니다
치과 수술 후 광대가 부어있는 상황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수술 부위의 염증 반응, 조직 손상으로 인한 부종, 림프 순환 장애, 혹은 수술 중 발생한 조직의 손상이나 출혈 등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통증이나 열감이 없다면 급성 염증 반응은 적을 수 있으나, 붓기가 지속되는 경우에는 만성 염증이나 다른 문제를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CT 검사에서 공기가 보이지 않았다면 피하기종의 가능성은 낮아보이지만, 광대 부위만 부어있다면 해당 부위의 림프 순환 장애나 다른 특정 조직의 반응일 수 있습니다. 붓기가 다른 부위보다 더딜 수도 있으며, 개인의 체질이나 수술 부위의 특성에 따라 회복 속도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지속적인 관찰과 필요한 경우 추가적인 진료입니다. 붓기가 오랫동안 지속되거나 다른 증상이 동반된다면, 치과 의사나 구강외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필요하다면 추가적인 영상 진단이나 검사를 통해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 계획을 세울 수 있습니다. 그리고 CT 촬영은 연속적인 엑스레이 촬영을 하기 때문에 피폭량이 높은 편에 속하긴 하지만, 연 2~3회 수준은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해요. 다음에 촬영하시기 전에, 이전에 CT를 촬영했었다는 점을 고지하고 상담 후 결정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꼭 확인해주세요.
항생제로 감염원을 박멸해도 염증은 남아있을수 있나요? 그렇다면 소염제를 활용해야 하나요? 치과수술후 2주지났고 항생제 5일 복용했는데 광대쪽만 부어있는데 아프거나 열감은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제가 어그제 아침에 일어났는데 귀 뒤에 혹 같은 부어 있습니다 그리고 만지면 통증은 없습니다 왜 그러는 걸까요 ㅠㅠ
왼쪽 잇몸,혀 광대에서 부터 관자놀이까지 통증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