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면으로 처방받은 아이의 결막염 전염성과 대처 방법
한OO • 2025.02.15
비대면으로 전화상으로 처방받았는데 아이가 눈에 눈곱 많이 끼고 충혈되어 있어서 결막염이라고 하더라구요 전염성은 어떻고 그 기간은 얼마나 잡아야하는지는 안여쭤봐서요 학교에 다니는데 전염시킬까봐 미리 여쭤봐요
결막염
비대면으로 전화상으로 처방받았는데 아이가 눈에 눈곱 많이 끼고 충혈되어 있어서 결막염이라고 하더라구요 전염성은 어떻고 그 기간은 얼마나 잡아야하는지는 안여쭤봐서요 학교에 다니는데 전염시킬까봐 미리 여쭤봐요
AD
결막염은 통증, 이물감, 눈꼽, 눈물, 가려움증, 충혈, 부종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바이러스성 결막염의 경우 전염성이 매우 높아 유행성 결막염이라고도 불립니다. 일반적으로 결막염의 전염 기간은 증상이 시작된 후 약 7일에서 14일 정도로 알려져 있습니다. 아이가 결막염 증상을 보이는 동안에는 학교나 유치원 등 단체 생활을 피하고, 손을 자주 씻으며 개인 위생을 철저히 하는 것이 전염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증상이 심하거나 지속될 경우에는 의사와의 상담을 통해 적절한 치료를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아이가 결막염 진단을 받았는데 어린이집 등원해도 될까요? 어제 눈싸움을 하면서 눈에 눈이 들어갔었는데 그 이후로 눈이 충혈되고 간지럽다고 하더니 결막염 진단을 받았습니다. 전염성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전에 흰자 부종,가려움,충혈로 알레르기성 결막염 진료 받고 안약과 파라딘0.2 처방 받았는데 비대면 진료에 안과가 없더라구요 결막염 진료 가능하면 파라딘도 처방 가능 한가요??
결막염 공기로도 전염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