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도결석 제거
제가 편도결석을 오늘 이비인후과에서 제거했는데 아직 목에 이물감이 있는것처럼 불편하네요 혹시 붓기인가요? 그리고 음주는 언제부터 가능할까요??
제가 편도결석을 오늘 이비인후과에서 제거했는데 아직 목에 이물감이 있는것처럼 불편하네요 혹시 붓기인가요? 그리고 음주는 언제부터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닥터나우 의료진입니다.
편도결석은 편도 혹은 편도선에 있는 작은 구멍들에 음식물 찌꺼기와 세균이 뭉쳐서 생기는 쌀알 크기의 작고 노란 알갱이를 말하는데요. 해당 증상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편도가 붓게 되면서 목에 이물감이 발생할 수 있어요. 다만, 알코올은 염증을 유발할 수 있어 해당 증상이 완전히 소실될 때 까지는 금주하시는 걸 권장드려요.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더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언제든 다시 이용해주세요.
감사합니다. 🙂
목소리를 듣고 좋은 서비스를 제공해드릴게요.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촌로 224 (이촌동, 리버뷰맨션)
AD
브루가가 증후군이랑 청장년급사증후군이 같은 건가요? 논문을 보니 기능적 유전적 등으로 동일한 질환이라던데 맞나요? (brugada 증후군 = SMDS) 브루가다 증후군이 유전이라는 것을 알게 됐습니다. 만약 브루가다 증후군 일으킬 수 있는 유전자를 가지고 있으면 증상이 없더라도 (돌연변이 유전자만 있고 증상은 발현 x) 심전도에서 특징적인 파형을 가지는 건가요? 아니면 유전자가 있지만 증상이 없기 때문에 심전도로 진단을 내릴 수 없는 건가요?(즉 위험요소는 있지만 위험요소만 가지고 있어 (증상이 없어) 알아낼 수 없는지.. 유전자 위험요소만 있어도 특징적인 파형을 가지는지) 청장년급사증후군이라고 불리는 SMDS는 사인 불명. 부검시 뚜렷한 근거 없다던데 부정맥 같은 것은 사망 후 심전도를 볼 수가 없기 때문에 심장 때문잉 가능성이 다른 심각한 암, 염증 같이 신체에 흔적이 남는 것보단 가능성이 있는 것 아닌가요? 이 부분으로 연구를 더 파보면 뭔가 단서다 나오지 않을까요??
L5/S1 Central focal protrusion 의 경우 마미증후군이 발병할 위험이 매우 높나요? 마미증후군은 저와 같은 부위 디스크 돌출이 있을 경우 쉽게 발병하나요?
청장년급사증후군, 브루가다증후군이 두렵습니다. 건강염려증이 있는데 이로인해 불안 공황도 있는 것 같습니다. 딱히 신체적 증상은 없고 걱정을 자꾸 하니 답답한 느낌이 들지만 걱정하기 전에는 멀쩡했으니 증상은 없는데, 저런 증후군에 걸릴 위험이 어느 정도 되나요? 너무 걱정을 안 해도 되는 부분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