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의 열이 38도 이상, 해열제 투여 후 잠자리에 두는 것이 괜찮을까요?
11개월 아기가 조금전 열이 올랐는데 38도 이상입니다 처방된 약이 없어서 집에 있는 해열제를 먹였습니다 일단 아이가 졸려워해서 재웠는데 괜찮을지..조금전 잰 체온은 38.7도입니다 아이는 잘 자고는 있지만 열이 더 오를까 걱정입니다 전기장판은 저온으로 해두었는데 끄는게 좋은건지... 옷은 입히고 재웠습니다 조금이라도 열을 떨어트리는 방법이 있을까요?
11개월 아기가 조금전 열이 올랐는데 38도 이상입니다 처방된 약이 없어서 집에 있는 해열제를 먹였습니다 일단 아이가 졸려워해서 재웠는데 괜찮을지..조금전 잰 체온은 38.7도입니다 아이는 잘 자고는 있지만 열이 더 오를까 걱정입니다 전기장판은 저온으로 해두었는데 끄는게 좋은건지... 옷은 입히고 재웠습니다 조금이라도 열을 떨어트리는 방법이 있을까요?
11개월 아기의 체온이 38.7도로 열이 있는 상황이라면, 아기가 편안하게 쉴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해열제를 복용했다면 약이 작용하기까지 약간의 시간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아기가 잘 자고 있다면, 잠을 방해하지 않는 선에서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해보세요. 1. 전기장판은 열을 더 올릴 수 있으므로 끄는 것이 좋습니다. 아기의 체온 조절 능력이 성인보다 떨어지기 때문에 외부 열원은 체온 상승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2. 아기의 옷은 가볍게 입히는 것이 좋습니다. 열이 나는 아기에게 두꺼운 옷은 체온을 더 올릴 수 있으므로, 얇은 옷 한두 겹으로 조절하는 것이 좋습니다. 3. 아기의 이마나 목 뒤에 미지근한 물수건을 올려놓는 것도 체온을 조금 낮추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너무 차가운 물수건은 오히려 체온을 더 올릴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4. 충분한 수분 섭취를 돕습니다. 아기가 깨어나면 수유를 통해 수분을 보충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5. 아기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관찰합니다. 열이 39도 이상으로 올라가거나, 다른 증상이 나타나거나, 아기의 상태가 나빠 보인다면 즉시 소아과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아기의 열이 빨리 내려가길 바라며, 상황이 호전되지 않거나 걱정되는 증상이 있다면 의료 기관을 방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생후 67일차 아기 2개월 접종 후(11시) 계속 38도 이상 열이 지속되고있숩니다. 접종 후 2회(19시, 23시)해열제(아세트아미노펜)복용했으나 해열제 복용 두시간 후에만 열이 미열로 내려가고 다시 38도로 오르는걸 반복하고 있습니다. 현재 접종 20시간 경과하였는데 해열제 추가복용을 해도될지 좀더 지켜보는게 나을까요?
14개월 아기 해열제 먹이고 나아졌다 다시 39도 찍고 또 해열제 복용 후 38.3도로 2시간 경과하여 해열제 교차복용 후 또 다시 2시간 지났는데 38도 입니다. 5-6시간동안 38도로 열이 되는데 병원 방문 하는 것이 좋을까요? 아기 컨디션은 괜찮고 오전 일찍 소아과방문 했었는데 편도가 부어서 열이 많이 날 것 같다고는 했습니다. 아기 컨디션은 또 좋아서 가야할지 고민입니다. 열로 방문하면 해열 관련 수액만 처지해줄까요?
22개월 아기 열이 38도 여서 해열제 먹였습니다. 다른 이상증상은 없구요. 해열제 먹은지 4시간 됐는데 36.3도에요. 열이 잡힌건가요? 아침까지 열이 안오르면 병원 안가도 되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