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개월 아기, 열이 오르고 오한과 바들바들한 몸, 응급실 방문이 필요한가요? 집에서 어떻게 돌봐야 할까요?
23개월 아기이고 구토는 안하고 지금 열이 39.6도까지 올랐는데 지금 몸을 바들바들 떨면서 오한이 온거같아요 콧물은 없고 해열제먹으니 열은 떨어졌어요 응급실을 가봐야하는건지 집에서 어떻게 케어해줘야하나요
23개월 아기이고 구토는 안하고 지금 열이 39.6도까지 올랐는데 지금 몸을 바들바들 떨면서 오한이 온거같아요 콧물은 없고 해열제먹으니 열은 떨어졌어요 응급실을 가봐야하는건지 집에서 어떻게 케어해줘야하나요
아기의 고열과 오한 증상은 감염이 있을 수 있음을 나타낼 수 있어요. 해열제를 통해 열이 떨어졌다고 하더라도, 23개월 아기가 39.6도까지 열이 올랐다면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합니다.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해보세요: 1. 아기의 체온을 정기적으로 확인하세요. 해열제 효과가 지속되는지, 열이 다시 오르는지 주시해야 합니다. 2. 아기가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고 있는지 확인하세요. 고열로 인해 탈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수분 섭취는 매우 중요합니다. 3. 아기의 전반적인 상태를 관찰하세요. 예를 들어, 활동성이나 수유(또는 식사)하는 모습, 기분 등이 평소와 다른지 살펴보세요. 4. 아기가 편안하게 쉴 수 있도록 해주세요. 너무 두꺼운 옷이나 이불로 인해 체온이 더 올라가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만약 아래와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면 즉시 응급실을 방문하세요: - 열이 다시 급격히 오르거나 해열제로도 열이 내려가지 않을 때 - 아기가 의식이 흐릿하거나 반응이 둔해질 때 - 호흡이 빠르거나 어려워 보일 때 - 발진이 나타나거나 경련이 발생할 때 - 지속적으로 구토나 설사가 있을 때 - 다른 심각한 증상이 나타날 때 아기의 상태가 불안정하거나 위의 증상 중 하나라도 나타난다면, 집에서의 관리보다는 전문의의 진료를 받는 것이 안전합니다. 응급실 방문을 결정하기 어려우시다면, 가까운 소아과에 전화하여 상담을 받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23개월 아기이고 구토는 안하고 열이 38.5도까지 올랐는데 지금 몸을 바들바들 떨면서 오한이 온거같아요 콧물은 없고 해열제먹으니 열은 떨어졌어요 응급실을 가봐야하는건지 집에서 어떻게 케어해줘야하나요
3개월 아기. 7pm 열 39.3도 .챔프시럽 2cc복용. 8p 열 37.5 8p30 열 38.0다시 열 오르는 양상 아기 웃기도 하고 먹는분유양 평소와 비슷(650ml),기저귀 8회로 소변 평소와 비슷함 잠을 많이자려고함. 3개월 밖에 안되서 응급실 가야할지요
23개월아기 14kg입니더 토요일 오후 응급실에서 후두염 진단받고 약 복용중이예요 일요일오전에 열이 38.6올랐다 내린후에 오늘도 괜찮아서 어린이집도 다녀왔는데요 오후 6시부터 열이나서 6:20 멕시부펜 8:20 아세트아노펜 복용후에도 열이 떨어지지 않고 39.1예요 숨소리눈 괜찮고 기침도 많이하진 않는데 열이 떨어지지 않는다면 응급실로 가야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