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병원에서 18세 이하 사후피임약 제공 거부 시 대처 방법은?
일반병원에서 18세 이하라고 사후피임약을 안주는데 어떡해요?
일반병원에서 18세 이하라고 사후피임약을 안주는데 어떡해요?
진료가 필요한 상황인가요?
미성년자도 사후피임약 처방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부 병원에서는 미성년자에게 사후피임약을 처방하지 않을 수도 있어요. 이런 경우에는 다른 병원이나 산부인과를 방문하여 상담을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사후피임약은 가능한 빨리, 성교 후 최대 72시간 내에 복용해야 가장 좋은 효과를 볼 수 있으며, 24시간 내에 복용하는 것이 95% 확률로 피임이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사후피임약은 일반 피임약에 비하여 호르몬 함량이 약 10배 이상 높아 부작용과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반드시 의사의 상담을 통해 처방을 받아야 합니다. 만약 여러 병원에서 거부당한다면, 청소년 상담센터나 관련 기관에 도움을 요청하여 적절한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받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또한, 걱정되신다면 방문 예정인 병원에 미리 전화로 문의하신 후 방문해 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새벽에 독감 증상으로 열과 어지러움이 나타나는데 새벽이라 병원가기 힘들어서 아침까지 대처방법 있을까요 18살 입니다
85세 어머니가 빈혈이 있구요 입맛이 떨어져서 고기나 단백질 계란 노른자 등 드시려고하질 않아요 약이나 음식물 을 어떴게 드려야할지요?
이런거 이렇게 질문하는게 결례인건 알지만요. "일반적으로 종합병원에서 만 18세 미만은 소아청소년과, 만 18세 이상은 내과에서 진단을 한다." 라고 적혀있던데 17세는 그럼 폐렴이나 심한 감기가 의심될 때 소아과에 가야하는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