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꼽탈장 수술 후 진물과 통증, 대처 방법은?
10년 전에 배꼽탈장 수술하였는데 1년전 쯤부터 배꼽에서 진물이 나오고 주변이 아픕니다 원래 수술했던 병원은 나몰라라하고 다는 대학병원들은 혈압이 널뛰기해서 수술 못한답니다 어떻게 하면 좋을가요?
10년 전에 배꼽탈장 수술하였는데 1년전 쯤부터 배꼽에서 진물이 나오고 주변이 아픕니다 원래 수술했던 병원은 나몰라라하고 다는 대학병원들은 혈압이 널뛰기해서 수술 못한답니다 어떻게 하면 좋을가요?
배꼽에서 진물이 나오고 통증이 있는 경우, 감염이나 재발된 탈장 등의 가능성이 있을 수 있습니다. 혈압이 불안정하여 수술을 진행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면, 다음과 같은 조치를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1. 정기적인 혈압 관리: 혈압이 불안정한 경우, 내과 전문의와 상의하여 혈압을 안정시키는 치료를 받으세요. 혈압이 안정되면 수술 가능성을 다시 평가받을 수 있습니다. 2. 감염 관리: 배꼽 부위의 청결을 유지하고, 진물이 나오는 부위를 소독하며, 필요하다면 항생제 치료를 받으세요. 감염이 의심되면 적절한 검사와 치료가 필요합니다. 3. 통증 관리: 통증이 심한 경우, 진통제를 복용하거나 통증 클리닉을 방문하여 통증 관리 방법에 대해 상담받으세요. 4. 다른 병원 상담: 원래 수술했던 병원이나 대학병원에서 도움을 받지 못한다면, 다른 병원이나 전문 클리닉을 찾아 상담을 받아보세요. 때로는 여러 의견을 듣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5. 정기적인 검진: 정기적으로 의사의 진료를 받으며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경우 추가적인 검사나 치료를 받으세요. 혈압 문제와 배꼽 탈장 수술 후의 합병증은 복잡한 문제이므로,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해 개인의 상태에 맞는 최선의 치료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능한 한 빨리 전문의와 상담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으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병원에서 소독 방법을 어떻게 설명하셨는지 알 수가 없으나, 소독을 위해 붕대를 제거할 때 피 딱지 등이 떨어지면서 다시 출혈이 생기는 일이 반복된다면 항생제 연고 등을 사용하여 상처 관리를 해야 할 것 같아요. 내원하셨던 병원으로 전화 문의 해 보시거나, 호전이 없다면 내원하여 다시 진료 받아보시는 것이 좋을 듯해요.
꼭 확인해주세요.
생후 115일 아기입니다 아기 배꼽이 튀어나온 배꼽탈장이라고합니다. 기저귀에 쓸려서 진물이났는데요 배꼽위에 쓸리지않게 손수건을 넣고 옷을 입혀도되나요? 아니면 다른방법으로 쓸리지않게 할수 있는 방법이있을까요?
피지같은 이물질과 진물이 나오는데 어떤이유일까요
46일째 아기입니다 평소 용쓰기 및 낑낑을 많이 하는편입니다 원래 배곱은 이렇지 않앗는데.. 배꼽탈장일까요? 배꼽탈장이면 어떻게해야하나요..? 덜 낑낑되게 하는 방법이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