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가 설사와 구토 증상을 보이고 있고, 처방받은 약과 지사제를 통한 치료에도 호전되지 않는 상황이라면, 의사의 입원 소견서를 받으셨다면 입원을 고려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아기의 건강 상태와 탈수 위험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
입원 여부: 아기가 지속적으로 설사와 구토를 하고 있고, 약물 치료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호전되지 않는다면 입원을 통해 보다 집중적인 치료와 관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
수액 치료: 수액 치료는 탈수를 예방하고 전해질 균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 아기의 상태와 증상을 고려할 때, 단순히 수액 치료만으로 충분할지 의사와 상의가 필요합니다.
-
설사 분유: 설사 분유는 소화가 잘 되고 영양소 흡수를 돕는 제품이 있습니다. 하지만 아기의 현재 상태와 증상에 맞는지 의사와 상의 후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
탈수 증상: 아기가 쉬는 횟수가 줄고, 활동적이라고 하더라도 지속적인 설사와 구토는 탈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탈수의 위험 수위인지는 아기의 전반적인 상태를 직접 확인해야 알 수 있습니다. 입술이 마르거나 눈물이 나지 않는다면 탈수 증상일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
수유량: 아기의 수유량은 정상적인 상황에서의 권장량과 비교하여 적절한지 의사와 상의해야 합니다. 설사와 구토로 인해 섭취한 영양소가 제대로 흡수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수유량 조절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발열이 없다는 점은 긍정적이지만, 아기의 증상이 지속되고 있으므로 빠른 시일 내에 의사의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의사의 소견에 따라 적절한 치료 방법을 결정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