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풍 진단 시 통증이 없을 때 피검사 해야 좋은가요?
통풍 진단은 통증이 없을때 피검사 해야지 잘나오나요? 통증이 있을때 요산수치가 올라가나요?
통풍 진단은 통증이 없을때 피검사 해야지 잘나오나요? 통증이 있을때 요산수치가 올라가나요?
통풍 진단을 위한 피검사는 통증의 유무와 관계없이 요산 수치를 측정하여 진행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통풍 발작이 일어나지 않을 때, 즉 통증이 없는 상태에서 요산 수치를 측정하는 것이 더 정확할 수 있습니다. 통풍 발작 중에는 요산 수치가 일시적으로 변동할 수 있으며, 통풍 발작이 있을 때는 염증 반응으로 인해 요산 수치가 올라갈 수도 있고, 요산 결정이 관절에 침착되면서 혈중 요산 수치가 일시적으로 떨어질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통풍 진단을 위해 피검사를 할 때는 통증이 없는 상태에서 하는 것이 좋을 수 있으며, 이는 요산 수치의 변동성을 줄이고 보다 안정적인 수치를 얻기 위함입니다. 하지만 통풍이 의심되는 경우, 의사는 환자의 증상, 병력, 그리고 피검사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진단을 내릴 것입니다. 통풍은 균형잡힌 식습관, 규칙적인 운동, 충분한 수분 섭취와 수면 등 생활 습관 교정이 도움이 되며, 기름진 음식이나 맥주 등 통풍에 좋지 않은 음식 섭취를 줄이고 요산 수치를 모니터링 해야 해요.
꼭 확인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왼쪽 엄지발가락 통증이 있어 정형외과 방문하였으나 궁금한 사항이 있어 추가질문 드려봅니다. 발아치가 조금 높다는 진단을 받았고, 그로인해 통증이 있을 수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추가적으로 식습관이 안좋아 통풍 관련 문의를 드렸더니 피검사를 통해 진단해보자 하셔서 진단 예정입니다. 궁금한 사항은 1. 급성통풍이라는것은 잠을 못잘 정도라고 하는데 그러한 통풍 발작이 있었던 것은 아닙니다. 그러한 사항에서도 요산수치가 높은경우 통풍으로 확실히 진단 되는지 궁금합니다. 2. 요산이 많이 쌓여서 통풍으로 발전되는걸로 알고 있는데, 요산수치를 낮추는 식습관을 하면서 수치를 조절하는 식이로 변화할 경우 통풍이 재발하지 않을지 궁금합니다. 3. 최근 1달간 물을 많이 먹지 못하고, 잦은 음주로 인한것인지 모르겠으나, 소변시 살짝 아픈 경우가 있었는데 이것이 통풍의 전조증상일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작은 정형외과에서 받은 통풍진단 오류일 수 있나요? 류마티스 관절염때문에 피검사를 했는데 통풍으로 진단이 떠서요ㅠㅠ 통풍 발작도 한번도 겪은 적이 없어서.. 19살인데ㅠㅠ
환자는 38세 남자로, 이전에 족부의 급성 통증(아마 통풍 급성발작일듯 합니다)이 2차례정도 있어 NSAID 복용하였고, 최근 축구한 후에 다음날 심한 통증 발생하여 검사한결과 요산수치 7.8로 통풍 진단받고 현재 페북소스탯과 생활요법 중입니다. 현재는 다시 통증 사라진 상태인데, 축구를 다시 해도 괜찮을지 궁금하여 질문드립니다. 조금 격한 운동이 통풍 급성 발작의 하이리스크 팩터일지, 아니면 현재처럼 약먹고 식사조절하면서 해도 좋을지 여쭤보고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