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닥터나우입니다.
-
약물 복용은 생리 주기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특히 호르몬에 영향을 주는 약물, 스트레스, 체중 변화 등은 생리 주기에 변화를 줄 수 있어요. 에스트로겐이나 감기약, 진통제 등이 생리 주기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
소량의 출혈이 착상혈일 가능성도 있습니다만, 착상혈은 배란 후 6~12일 사이에 임신수정낭이 자궁내막을 파고 들면서 생기는 출혈로, 핑크색이나 갈색의 소량의 출혈이며, 1~3일 정도로 기간이 짧고 출혈량도 훨씬 적습니다. 그러나 착상혈, 배란혈, 부정출혈, 생리혈의 경우 증상만으로 구분이 힘들기 때문에 증상만으로는 임신 여부를 진단할 수 없습니다.
-
착상혈이 아니라면, 생리가 이틀만에 끝날 수도 있습니다. 생리 주기나 양은 개인마다 다를 수 있으며, 스트레스나 건강 상태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어요. 부정출혈은 특별하게 몸에 이상이 없는 건강한 경우라도 과도한 스트레스나 생활패턴의 변화, 피로, 면역력 감소 등으로 인해 겪을 수 있는 현상이기도 합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산부인과 전문의와 상담하시기를 권장드립니다.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할 수도 있으며, 임신 가능성에 대해서 염려 되실 경우 성관계 8-10일 이후(생리예정일 2-3일 전) 부터 혈액검사를 통해 확인 가능하며, 성관계 10일 이후(생리예정일 4-5일 전) 얼리 임신테스트기, 성관계 14일 후(생리예정일 1-2일 후)에는 임신 테스트기를 사용해 볼 수 있어요. 건강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