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개월 아기 고열 2일째, 해열제 효과 없어서 병원 방문 필요할까요?
18개월 아기 이틀동안 고열이 납니다 최고 39.8 최저 37.7 잠에서 깼을 때 덜덜 떠는 모습을 보이기도 합니다. 물 잘 먹고 밥은 거의 안 먹습니다만 군것질을 주니 좀 먹었습니다. 해열제가 타이레놀 계열은 안들고 이부프로펜이 잘 드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설사 1번 했습니다. 고열 외 다른 증상은 아예 없는데 열이 왜 안 떨어질까요? 병원은 언제 가보는 게 좋을까요?
18개월 아기 이틀동안 고열이 납니다 최고 39.8 최저 37.7 잠에서 깼을 때 덜덜 떠는 모습을 보이기도 합니다. 물 잘 먹고 밥은 거의 안 먹습니다만 군것질을 주니 좀 먹었습니다. 해열제가 타이레놀 계열은 안들고 이부프로펜이 잘 드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설사 1번 했습니다. 고열 외 다른 증상은 아예 없는데 열이 왜 안 떨어질까요? 병원은 언제 가보는 게 좋을까요?
18개월 아기가 이틀 동안 고열을 보이고, 해열제에 반응이 없으며, 설사 증상까지 보인다면 병원을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아기가 최고 39.8도까지 열이 올라가고, 잠에서 깨어 떨리는 모습을 보였다면, 더욱 신속한 의료 조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아기가 물은 잘 마시지만 밥을 거의 먹지 않고, 군것질만 조금 먹는다는 점도 건강 상태를 점검해야 할 이유입니다. 이부프로펜에는 반응을 보이지만 타이레놀에는 반응이 없다는 것도 의사에게 알려야 할 중요한 정보입니다. 아기의 고열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는 다음과 같은 가능성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 바이러스 감염 - 세균 감염 - 기타 의학적 상태 고열 외에 다른 명확한 증상이 없더라도, 아기의 건강 상태를 정확히 평가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기 위해서는 의사의 진료가 필요합니다. 가능한 한 빨리 소아과를 방문하여 아기의 상태를 점검받고, 필요한 경우 추가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아기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신속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해열제를 복용해도 열이 전혀 떨어지지 않아 걱정되시겠어요. 기존에 약을 복용 시키셨을 때 열이 떨어진 적이 있기 때문에, 계열이 다른 해열진통제나 소염진통제를 2-4시간 정도 시간 간격을 두시고 복용시켜 보실 수 있어요. 다만 9개월~5세 사이의 소아는 열이 떨어지지 않을 시 열성 경련 가능성이 있어요. 따라서 교차복용을 했음에도 열이 지속적으로 떨어지지 않고 아기가 쳐치는 등의 증상이 보인다면 응급실에 방문하여 수액, 주사, 입원 등의 처치가 필요할 수 있으니, 의사와 상담할 수 있도록 소아청소년과로 내원하셔서 진료 받아보시면 좋겠어요.
꼭 확인해주세요.
2일째 원인 모르는 고열이 지속되고 해열제를 먹어도 열이 떨어지지 않는데 어느 병원을 가야하는건가요? 피검사를 해봐야하나요?
18개월 아기에요. 어제 오후부터 이유없는 고열이 38-39도로 현재까지 계속 되고 있어요.(감기증상은 없어요) 인터넷 찾아보니 돌발진도 의심되는데 해열제 먹여도 열이 잡히지 않네요. 어제 병원갔다왔는데 좀 기다려봐야할지 궁금해요.
22개월 아기 어제부터 38-39도 어제랑 오늘 4시간 간격으로 해열제 먹였는데 열이 안 떨어져요 교차복용은 아직 안 해봤는데 내일이 휴일이라 병원부터 가볼까요? 아님 이틀 정도는 더 지켜보고 가도 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