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PV 고위험군 검출 시 조직검사 필요할까요?
hpv검사 고위험군 53,59,68번이 검출되었지만 조직검사는 안해도 되나요?
hpv검사 고위험군 53,59,68번이 검출되었지만 조직검사는 안해도 되나요?
HPV 고위험군 53, 59, 68번이 검출되었다면 자궁경부암의 위험 가능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하지만 조직검사가 필요한지 여부는 환자의 상태와 추가 검사 결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HPV 고위험군이 검출되었을 경우, 자궁경부 세포검사(파파니콜로 검사) 결과를 함께 검토하여 조직검사 여부를 판단합니다. 세포검사에서 이상 소견이 발견되지 않았다면 정기적인 추적 관찰로 관리할 수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세포검사에서 이상이 발견되었거나, 의사가 필요하다고 판단할 경우 조직검사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조직검사가 필요한지 여부는 담당 의사와 상의하여 결정하는 것이 가장 적절합니다. 앱 내 메인페이지에서 '산부인과'를 선택하여 진료를 받아보시고, 추가적인 검사나 정기적인 추적 관찰이 필요할 수 있으니 전문의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자궁경부암 검사시 정상, Hpv고위험군 바이러스 검출되었을때는 어떻게 관리해야하나요?
얼마 전 질염 때문에 산부인과를 방문하며 겸사겸사 HPV와 자궁경부암 검사를 동시에 진행했습니다. 오늘 검진 결과가 나왔는데 HPV 고위험군 39,53 저위험군 30, 54가 검출되었고 암 검사에서는 비정형 이상소견(ASCUS)이 있다고 조직검사와 확대경 검사를 월요일에 진행하기로 했는데, 이미 HPV 고위험군이 검출된 만큼 걱정이 많이 되는데 혹시 그대로 ASCUS 단계나 CIN1단계로 결과가 나오는 확률도 많은가요? 아니면 이미 조직검사를 권유 받았으니 2,3단계일 확률이 훨씬 높은가요..? 산부인과 진단은 처음이라 너무 걱정이 되고 불안감이 커집니다...
자궁경부암 검사를 비정형 상피세포가 나오고, hpv 16번과 같은 고위험군이 검출되었는데. 보통 조직검사를 했을 때 음성으로 나오는 경우가 어느정도 될까요? 몇 퍼센트의 사람들이 음성이 나오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