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과 진료를 두 곳에서 받아도 약 처방에 문제가 될까요?
정신과를 두군데를 고민중인데요 이번주에 가서 a병원 진료 보고 다음주에 다른b병원 가서 진료 받으면 약처방에 문제가 될수있을까요? 지금 현재 내과에서 스타브론정 일주일 남은분 먹고 있는 상태입니다
정신과를 두군데를 고민중인데요 이번주에 가서 a병원 진료 보고 다음주에 다른b병원 가서 진료 받으면 약처방에 문제가 될수있을까요? 지금 현재 내과에서 스타브론정 일주일 남은분 먹고 있는 상태입니다
AD
정신과 진료를 두 곳에서 받으시는 것은 통상적으로 권장되지 않아요. 이는 두 병원에서 처방받는 약물 간에 상호작용이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환자의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에요. 현재 내과에서 스타브론정을 복용 중이시라면, 정신과 약물과의 상호작용도 신중히 고려해야 합니다.
한 병원에서 지속적으로 진료를 받으시며 주치의와 충분한 상의를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그러나 두 병원에서 진료를 받아야 하는 특별한 사정이 있으시다면, 두 병원의 의사에게 각각의 상황을 명확히 알리고, 처방받는 약물에 대한 정보를 서로 공유하도록 요청하시는 것이 중요해요.
또한, 향정신성의약품의 경우 중복 처방이 불가능하므로, 이전 병원에서 받은 약의 남은 분량을 고려하여 새로운 병원에서 처방을 받으실 때는 이를 의사에게 알려야 합니다. 이러한 약물들은 비대면 진료를 통한 처방이 제한될 수 있으니, 직접 방문하여 진료를 받으시는 것이 좋겠어요.
꼭 확인해주세요.
약처방 진료받아야하는데 진료는 다른데서 받고 약처방은 제주에서 받아도 되요?
흉통(가슴이 조이는 느낌), 두통(특히 편두통), 빈맥, 손발이 저리거나 쥐가 자주 납니다. 30대 후반이며 처방받은 경구피임약을 복용중입니다. 또한 10여년정도 정신과 약물을 복용중입니다. 최근 심장내과와 호흡기내과에서 검사와 진료를 받았습니다. 천식 진단을 받아 약 복용중이고, 24시간 홀터 검사를 받았는데도 빈맥 이외의 특별한 진단은 없습니다. 최근 이곳에서 도움을 많이 받았는데요, 유전적으로도 젊은 연령대에서 뇌경색/고혈압/당뇨가 걱정되며 지금 고생중인 부분들이 혹시 혈전의 문제가 아닌가 싶어서요. 혈전에 대한 검사/진단/진료는 어느곳에서 받을 수 있을까요?
정신과 가서 약처방 안 받아도 되나요? 상담만 받아도 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