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 열이 38.5도까지 올라가고 해열조치 후 4시간째 38.2도 유지, 계속 지켜봐도 되나요?
아기가 낮잠 이후에 갑자기 38.5도까지 열이 올랐는데, 해열제 먹이고 쿨링패치도 뒷목과 이마에 하나씩 총 두징 부착했습니다. 그런데 4시간째 38.2도 밑으로는 떨어지지 않는데 지켜봐도 괜찮을까요. 쳐지는 것은 없습니다ㅜ
아기가 낮잠 이후에 갑자기 38.5도까지 열이 올랐는데, 해열제 먹이고 쿨링패치도 뒷목과 이마에 하나씩 총 두징 부착했습니다. 그런데 4시간째 38.2도 밑으로는 떨어지지 않는데 지켜봐도 괜찮을까요. 쳐지는 것은 없습니다ㅜ
아기의 열이 38.5도에서 38.2도로 소폭 떨어졌지만, 여전히 높은 편이네요. 해열조치를 취했음에도 4시간이 지나도록 열이 충분히 떨어지지 않는다면, 아기의 상태를 좀 더 면밀히 관찰하시는 것이 좋아요. 아기가 쳐지지 않고 활동성이 유지되고 있다면 급한 상황은 아닐 수 있지만,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즉시 의료진의 도움을 받아야 합니다: 1. 아기가 3개월 미만이고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 2. 아기가 3개월에서 6개월 사이이고 체온이 39도 이상일 때 3. 아기에게 발진, 호흡곤란, 지속적인 구토, 설사, 무기력함, 식욕 부진 등 다른 증상이 동반되는 경우 4. 열이 24시간 이상 지속되거나 해열제를 먹여도 열이 내려가지 않을 때 해열제를 투여한 지 4시간이 지났다면, 해열제의 효과가 지속되는 시간을 고려하여 추가로 해열제를 투여할 수 있는지 약물의 지시사항을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충분한 수분 섭취를 유지하고, 아기의 옷을 가볍게 입혀 체온 조절을 돕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아기의 상태에 대해 불안하거나 열이 내려가지 않는다면, 가까운 소아청소년과로 내원하셔서 진료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어요. 아기의 건강 상태는 변화가 빠르고 예측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안전을 위해 전문가의 조언을 구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합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136일 된 아기가 어제 예방접종 맞고 열이 발생됩니다. 어제 저녁 체온계로 확인했을때 39.2~4 였습니다. 해열제를 먹이고 해도 열이 떨어지지 않아 병원에가서 진료만 받고 나왔습니다. 오늘도 38.5도정도를 유지를 하는데 병원에 방문해보니 집에서 열을 낮춰주고 지켜봐야한다고 하는데 현재도 38.7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집에서 체온을 낮춰주고 해열제 먹이면서 지켜봐야할까요?
15개월아기 목이 많이 부었다고 병원에서 열이 3일째인데 멕시부펜 먹인지 한두시간 되어도 열이 38도에서 38.4도 밑으로는 안떨어져요ㅜㅜ 계속 그냥 지켜보는게 좋은걸까요?
22개월 된 아기입니다. 3일째 열이 37.5 - 38.4 사이를 오가는데 열이 더 오르지도 않고 그렇다고 떨어지지도 않습니다. 38.4도까지 올라갔을 때는 밤이라 해열제를 한 번 먹이긴 했는데 그 이후로 38도에서 유지하고 있습니다. 육안으로 관찰되는 다른 증상은 없고, 컨디션도 좋고, 먹는 것도 평소와 같이 먹습니다. 이유를 알 수 없어 답답한데 병원을 가봐야 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