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정지 후 삽입형 제세동기 사용 중, 짚라인 타기는 안전할까요?
제가 2023년 1월달에 부정맥으로 인한 심정지로 인해 삽입형 제세동기 삽입술을 진행했습니다, 현재 200회 이상이 넘어가면 울리게 되어 있는데요. 여행가서 부산에 있는 짚라인을 타려 합니다, 타도 괜찮을까요? 워터파크 놀이기구 타고 소리 질렀을 때는 울리지 않았습니다.
제가 2023년 1월달에 부정맥으로 인한 심정지로 인해 삽입형 제세동기 삽입술을 진행했습니다, 현재 200회 이상이 넘어가면 울리게 되어 있는데요. 여행가서 부산에 있는 짚라인을 타려 합니다, 타도 괜찮을까요? 워터파크 놀이기구 타고 소리 질렀을 때는 울리지 않았습니다.
삽입형 제세동기(ICD)를 삽입한 후의 활동은 개인의 건강 상태와 ICD의 설정, 그리고 의사의 조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요. 짚라인과 같은 모험 활동은 심장에 상당한 스트레스를 줄 수 있으며, 이는 부정맥을 유발하거나 ICD가 작동하게 만들 수 있어요. ICD가 설정된 심박수 이상으로 올라가면 작동하도록 설정되어 있다면, 짚라인을 타는 동안 심장 박동수가 급격히 증가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해요. 워터파크에서 놀이기구를 타고 소리를 질러도 ICD가 울리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짚라인은 다른 종류의 스트레스를 줄 수 있으므로 직접 비교하기는 어렵습니다. 따라서 짚라인을 타기 전에 담당 의사와 상담하여 안전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해요. 의사는 여러분의 건강 상태, ICD의 설정, 그리고 짚라인 타기와 같은 활동이 여러분의 심장에 미칠 영향을 평가하여 안전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어요. 만약 의사가 짚라인 타기를 권하지 않는다면, 심장에 부담을 주지 않는 다른 활동을 선택하는 것이 좋아요. 건강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것이 중요해요.
꼭 확인해주세요.
브루가다증후군이 있을 경우 심정지 대비해서 삽입형 제세동기말고 인공심장을 넣응 수도 있나요?
심정지 상황에서 보통 제세동기 쓸때 2분 간격으로 환자에게 충격을 가하나요?
혈압약 먹다가 임의로 중단한 상태에서 갑자기 심근경색 생기거나 아님 심정지 오면 생존율이 궁금해요. 응급처치 받으면 생존율도 궁금해요. 혈압약 먹다가 임의로 중단한 갑자기 심근경색이나 심정지 올 가능성이 많이 높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