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독검사 중 TPPA와 RPR 중 어떤게 더 정확한가요?
보건소에서 매독검사를 받을려하는데 TPPA랑 RPR이 있는데 어떤게 제일 정확한 검사나요?
보건소에서 매독검사를 받을려하는데 TPPA랑 RPR이 있는데 어떤게 제일 정확한 검사나요?
매독 검사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으며, 그 중 TPPA(Treponema pallidum particle agglutination)와 RPR(Rapid Plasma Reagin)이 대표적인 두 가지 방법입니다. 이 두 검사는 각각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며, 어느 것이 '더 정확하다'고 말하기보다는, 각 검사가 가진 목적과 특성에 따라 적절히 사용되어야 합니다. TPPA는 트레포네마 팔리덤(Treponema pallidum, 매독을 일으키는 세균)에 대한 항체를 직접 검출하는 검사로, 매독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데 매우 정확한 방법입니다. 이 검사는 매독의 감염 여부를 확진하는 데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매독의 초기 및 후기 감염을 모두 감지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RPR은 매독 감염으로 인해 체내에서 생성된 비특이적 항체를 검출하는 검사로, 매독 감염의 활성도를 평가하고 치료 반응을 모니터링하는 데 유용합니다. RPR은 매독 감염의 초기 단계에서 음성 결과를 보일 수 있으며, 치료 후에는 항체 수치가 감소하여 치료 효과를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그러나 RPR 1:8 이하의 저역가(low titer)는 치료 후에도 수년간 남을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매독 감염 여부를 처음으로 확인하려는 경우, TPPA를 통해 확진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이미 매독 진단을 받았고 치료 후 감염의 활성도나 치료 반응을 확인하려면 RPR 검사가 적합합니다. 보건소에서 매독 검사를 받으실 때는 의료진과 상담하여 본인의 상황에 맞는 검사를 선택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검사결과의 해석은 전문가의 상담을 통해 종합적으로 평가되어야하며, 검사결과에 대한 상담은 검사를 시행한 의사와 상담 받아보실 것을 안내드려요.
꼭 확인해주세요.
보건소에서 하는 매독검사 TPPA랑 RPR이 있던데 둘중에 어떤걸 받야하나요? 둘중에 어떤게 더 정확한지 알려주세요
매독검사 보건소에서 TPPA랑 RPR이 있는데 RPR에서 양성반응이 나와야지 TPPA검사를 하는건가요?
보건소에서 실행하는 매독검사 RPR 검사와 TPPA 검사를 실행하였고 모두 음성소견을 보였습니다. 의심관계 54일후 받은 검사이고 4주차때 RPR음성 6주차때 RPR음성 7주+5일차에 RPR 음성 TPPA 음성입니다. 이정도면 확진이라고 봐도 될까요?? 현재는 물론 과거에도 매독에 걸린적이 없다고 생각하면 될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