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하수체 선종 수술 후 게임해도 되나요?
뇌하수체 선종 수술받은지 1주일 됐고, 경미한 두통은 있으나 뇌척수액 누출 의심은 없는 상태인데 가볍게 게임 30분 정도는 해도 될까요?
뇌하수체 선종 수술받은지 1주일 됐고, 경미한 두통은 있으나 뇌척수액 누출 의심은 없는 상태인데 가볍게 게임 30분 정도는 해도 될까요?
AD
안녕하세요. 닥터나우 실시간 의료 상담 의료진입니다.
뇌하수체 선종 수술을 받은 지 1주일이 지난 시점에서 게임을 해도 괜찮은지 궁금하신 것 같아요.
뇌하수체 선종 수술을 받은 지 1주일이 지난 시점이고, 경미한 두통만 있고 뇌척수액 누출 같은 특별한 합병증이 없다면, 일상생활로 점진적으로 복귀할 수 있어요.
하지만 아직 회복 초기이기 때문에 무리한 활동은 피하고, 본인의 몸 상태를 잘 관찰하면서 조심스럽게 일상으로 돌아가는 것이 중요할 것 같아요.
수술 직후 1~2주는 뇌와 주변 조직이 치유되는 중요한 시기예요.
이 기간에는 뇌압이 급격히 오를 수 있는 행동, 예를 들어 무거운 물건 들기, 심한 기침, 코 세게 풀기 등은 반드시 피해야 해요.
그리고 가벼운 산책이나 일상적인 움직임은 혈액순환과 회복에 도움이 되지만, 피로감을 느끼면 바로 쉬어야 해요.
만약 두통이 심해지거나 시야에 변화가 생기거나, 코에서 맑은 액체가 흐르는 증상이 나타난다면 뇌척수액 누출이나 다른 합병증의 신호일 수 있으니, 다시 한번 병원으로 방문하셔서 검사와 진료를 통해 상태를 확인해보시는 게 좋을 것 같아요.
가벼운 컴퓨터나 모바일 게임을 30분 정도 즐기는 것은 대부분 큰 무리가 되지 않는다고 볼 수 있어요.
다만, 게임 중에 두통이 심해지거나 어지러움, 시야 흐림, 피로감이 느껴진다면 즉시 중단하고 충분히 쉬어야 해요.
장시간 집중하거나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게임, 신체적 긴장이 필요한 게임은 뇌에 부담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수술 후 3개월까지는 피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또한, 게임을 할 때는 조용하고 편안한 환경에서, 무리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진행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수술 후 3개월까지는 무거운 물건 들기, 격렬한 운동, 장시간의 집중 작업 등 뇌압을 높일 수 있는 활동은 제한하는 것이 안전해요.
또한, 회복 속도는 개인마다 다르기 때문에, 본인의 몸 상태와 증상 변화를 꼼꼼히 관찰해야 해요.
모든 활동의 기준은 본인의 컨디션이에요.
따라서 조금이라도 불편함이 느껴지면, 활동을 중단하고 휴식을 취하며 경과를 지켜보시는 게 좋을 것 같아요.
만약 새로운 증상이나 불편함이 나타나면 스스로 판단하지 말고, 병원으로 방문하셔서 다시 한번 진료를 받아보시는 게 좋을 것 같아요.
닥터나우에서 발행하고 있는 콘텐츠 중 하나를 하단에 추천해 드릴게요.
'건강매거진' 속 다양한 콘텐츠도 읽어보시면 좋겠어요.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뇌종양 초기 증상, 자가 진단, 원인, 치료, 수술에 관한 모든 정보를 담아왔어요.
목소리를 듣고 좋은 서비스를 제공해드릴게요.
저는 뇌하수체 선종으로 고프로락틴 혈증을 앓고있습니다. 안면윤곽 수술을 할 예정이라 전신마취를 해야하는데 뇌하수체 선종과 관련해서 전신마취를 하면 안되는 경우가 있을까요?
이게 뇌하수체인가요? 만약 맞고 뇌하수체 선종이 있다면 이 안에 있는건가요?
아무 이유 없이 프로락틴 수치가 높을수도 있는 것인가요? 뇌하수체 선종과 관계가 없어도 수치가 높을 수도 있나 궁금해서요ㅠ 만약 프로락틴 수치가 39이라면 뇌하수체 선종을 의심해야 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