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개월 아기 39도 열, 병원 이외 대처법은?
16갤아기 39도 넘는 열에 쳐지는데 어떻게 해야할까요 병원말고는 방법ㅇㅣ 없을까요
16갤아기 39도 넘는 열에 쳐지는데 어떻게 해야할까요 병원말고는 방법ㅇㅣ 없을까요
16개월 아기가 39도의 고열을 보이는 경우, 병원 방문이 가장 안전한 방법입니다. 하지만 병원에 가기 전이거나 가지 못하는 상황이라면 다음과 같은 대처법을 시도해볼 수 있습니다. 1. 해열제 사용: 아기가 약을 잘 먹는다면 용법에 맞게 해열제를 복용시켜 주세요. 단, 사용 전에 반드시 용량을 확인하고 지시사항을 따라야 합니다. 2. 충분한 수분 섭취: 아기가 탈수되지 않도록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게 해주세요. 모유, 분유, 물 등을 자주 제공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3. 옷을 가볍게 입히기: 아기의 체온 조절을 돕기 위해 두꺼운 옷은 벗기고 가벼운 옷을 입혀주세요. 4. 체온 조절: 미지근한 물수건으로 아기의 이마, 겨드랑이, 목 뒤, 사타구니 등을 닦아주어 체온을 조금 낮춰줄 수 있습니다. 5. 실내 온도와 환기: 실내 온도를 너무 높게 유지하지 않고, 적절한 환기를 통해 신선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해주세요. 6. 안정: 아기가 편안하고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세요. 과도한 활동은 피하고 휴식을 취하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조치에도 불구하고 아기의 상태가 호전되지 않거나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에 가야 합니다. - 열이 48시간 이상 지속될 때 - 발진이 나타날 때 - 호흡이 빠르거나 어려울 때 - 의식이 흐릿하거나 반응이 없을 때 - 지속적으로 구토나 설사를 할 때 - 먹지 않거나 잘 먹지 않을 때 - 귀나 목에 통증이 있을 때 아기의 건강 상태를 면밀히 관찰하면서 상황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나 39도의 고열이 지속되는 상황이라면 이는 바로 응급실 진료를 통한 처치가 필요한 상황으로 보여집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42개월 딸 하원후 너무너무 멀쩡했는데 갑자기 졸렵다고 해서 낮잠도 안자는 아이가 낮잠을 자고 일어나니 39도. 해열제 먹고 3시간도 안되서 다시 39도 먹으면 38.1-2도로 떨어지고 끝. 기침 콧물 없어요. 저녁도 심지어 잘 먹었어요
아세트 계열 1시간반전에 먹였는데 38.8도까지 떨어지더니 또다시 39.2도로 올랐습니다 근데 몸은 다 멀쩡하고 얼굴 및 머리쪽만 뜨거워요 어떻게 해주는게 좋을까요? 현재 애기는 자고 있습니다
아기가 오늘 살짝 칭얼 거리더니 콧물이 나길래 감기약 먹이고 재웠는데 계속 눈 감은채로 몸 살짝 일어나면서 자세 바꾸면서 칭얼 칭얼 하길래 열 재보니 39.2도 였습니다. 현재 1시간 전에 아세트 (내린다) 3.5mg 먹인 상태인데아직 38.7도에요. 살짝 차가운물로 수건도 적셔서 대줬고 샤워도 시켰는데 너무 무섭네요. 열경련이거나 돌발진은 아니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