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지름이 관계 후 1주 뒤에 나타날 수도 있나요?
곤지름이 관계후 1주뒤에 나타날수도있나요
곤지름이 관계후 1주뒤에 나타날수도있나요
곤지름은 일반적으로 바이러스에 감염된 후 2~3개월 경과 후에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고 알려져 있어요. 잠복기는 1~8개월까지도 길어질 수 있지만, 감염 후 1주일 만에 증상이 나타나는 것은 드문 경우입니다. 면역 체계의 상태나 바이러스의 종류, 감염 부위 등에 따라 잠복기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성관계 후 1주일 만에 증상이 나타났다면 다른 피부 질환의 가능성도 있어 피부과 진료를 받아 정확하게 진단 받아보실 것을 권유드릴게요!
꼭 확인해주세요.
남자친구가 HPV 11번이 양성으로 나왔는데, 저는 육안상으로도 곤지름이 발견되지 않았고 HPV는 음성이 나왔습니다. 1. HPV는 잠복기가 있다고 하던데, 관계후 2주뒤 받은 HPV 검사 결과를 신뢰해도 될까요? 2. 만약 제가 잠복기라면, 면역력에 의해서 바이러스가 나타날수도 안나타날수도 있을까요? 아니면 높은 확률로 바이러스가 나타날까요? 전 2년전 가다실9가를 접종한 상태이며 관계시 콘돔은 착용 하였으나 삽입 전 성기끼리의 마찰 정도는 있었습니다
HPV 11번을 가진 남성과 성기 접촉후 한달, 또 직접적인 삽입이 있던후 일주일 뒤에 산부인과에서 곤지름 초기같다 하시면서 약물치료를 해주셨습니다. 이때 따로 조직검사나 HPV검사를 시행하진 않았고, 일주일 정도 더 뒤에 다른 병원에서 진료를 본 결과 다른 부분에서 곤지름을 발견하진 못했고, HPV 검사 결과도 음성이 나왔습니다. 1. 곤지름을 초기에 발견해 제거했다면, HPV가 빠르게 소실될수도 있나요? 2. HPV를 가진 남성과 관계를 했더라도, 처음에 제가 가진게 곤지름이 아닐수도 있을까요? 3. 제가 했던 HPV 검사가 위음성 확률이 있다고는 하지만 접촉 한달, 성관계 2주 뒤에 한 HPV검사 결과가 그래도 신뢰가 있을까요? 4. 제게 곤지름이 생기진 않는지 주기적으로 병원에서 검진을 받고 싶은데, 검진 주기는 어느 정도로 하는게 좋을까요? 5. 만약 저에게 곤지름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추가적으로 HPV검사를 하는게 의미가 있을까요? 1년뒤에 해도 될까요?
1년 6개월 전 사귀었던 여자친구와 관계할때 콘돔없이 관계를 하였고 한달전에 콘돔을 끼고 한번 관계를 했는데 곤지름이 났습니다 콘돔이 씌워진 성기 기둥쪽에 곤지름이났는데 콘돔을 끼고 곤지름이 날수있나요? 아니면 이렇게까지 늦게 증상이 나타나기도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