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을 자는 게 어려워요 한 번 잠에 들면 푹 자는데 잠에 드는 게 어려워요 사실 일상생활에 크게 영향을 주는 정도는 아닌데 지금 이렇게 자면 나중에 30대 되면 몸이 고장날까 싶어서요
수면유도제를 먹더라도 자는 게 낫나요?? 보통 3-4시 늦으면 5시에 자서 8시반에 일어나서 출근하거나 혹은 휴무면 10-11시까지 혹은 더 늦게 일어나요
(간혹 일찍 일어나더라도 휴무면 집에서 낮잠 자기도 해요 수면장애이신 분들은 낮잠도 못 잘 정도인가요?? 저는 꿀잠자는데...)
너무 힘든 날엔 집 오자마자 자서 8-9시간 자고 난 다음날은 더 잠에 들기어렵고... 그날은 또 피곤하고 무한반복이에요
출근하는 날은 늦게 퇴근해서 일찍 자도 11시반 12시예요..!!
수면장애
error
실시간 의료상담의 모든 게시물은 저작권의 보호를 받아요. 저작권자의 명시적 동의 없이 게시물을 복제, 배포, 전송 등 활용하는 것은 저작권 침해로서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으니 유의하세요!
정신건강의학과 관련 1개의 답변
손혜련 선생님
닥터나우
2025.03.28
안녕하세요. 닥터나우 의료진입니다.
수면 장애가 있으셔서 많이 걱정되시겠어요.
문의 주신 부분에 대해 안내 드릴게요.
결론부터 말씀 드리자면, 수면유도제를 복용해보시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어요.
자세히 설명 드릴게요.
잠에 드는 것에 어려움이 있으시고 잠이 들고 난 뒤에도 숙면을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있으시네요.
일상 생활에 크게 영향을 주는 정도는 아니라고 하셨지만 많으면 5시간, 적을 때는 3시간의 수면을 취하는 것은 정상적이라고 보기 어려워요.
수면유도제를 복용하면 잠에 드는 데까지 걸리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고 불면증과 같은 수면 장애를 치료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어요.
물론, 장기적인 복용이나 의존도가 높아지는 것은 좋지 않기 때문에 수면 습관 교정 등을 위해 단기적으로 복용해보실 수 있어요.
또는 멜라토닌과 같은 약을 우선적으로 사용해보신 후 효과가 없을 때 수면유도제를 복용할 수도 있는데요.
정신건강의학과를 방문하셔서 충분한 상담 받아보신 후 치료 계획을 세워보시면 좋겠어요.
수면 장애로 인해 많이 불안하고 걱정되실 수 있겠지만, 너무 미리 걱정하지 마시고 병원을 방문해 보시는 것이 좋겠어요.
도움이 될 수 있는 콘텐츠를 하단에 추천해 드릴게요.
닥터나우 '건강매거진' 콘텐츠도 읽어보시면 좋겠어요.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