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닥터나우입니다. 질문 주신 내용에 대해 하나씩 답변드리겠습니다.
-
미성년자 혼자 병원 방문 및 ADHD 검사/약 처방 가능 여부
미성년자가 혼자 병원을 방문하는 것은 가능합니다. 하지만 ADHD 진단 및 약물 처방은 민감한 문제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병원에서는 부모님 또는 보호자의 동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특히 약물 처방의 경우, 보호자의 동의 없이는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이전 답변에서도 언급했듯이, 약물에 의한 이상 반응 등으로 인해 부모님의 동의가 필요한 상황이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부모님과 대화를 통해 설득하거나, 학교 상담 선생님이나 신뢰할 수 있는 어른의 도움을 받아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ADHD 검사 비용, 약 비용, 약 복용 기간
- 검사 비용: ADHD 검사는 병원마다 다르며, 보통 5만 원에서 20만 원 정도의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검사에는 설문지, 면담, 그리고 경우에 따라 신경심리검사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 약 비용: ADHD 약물은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한 달 기준으로 약 3만 원에서 10만 원 정도의 비용이 들 수 있습니다.
- 약 복용 기간: ADHD 약물은 증상 완화와 일상생활의 질 향상을 위해 복용합니다. 복용 기간은 개인의 상태에 따라 다르며, 의사와의 상담을 통해 결정됩니다. 일부는 장기적으로 복용하기도 하고, 필요에 따라 중단하기도 합니다.
-
ADHD가 아닐 경우 증상 치료 방법
ADHD가 아니라도 주의력 부족, 잦은 건망증 등의 증상은 스트레스, 수면 부족, 불안, 우울 등 다양한 원인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와 상담을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인지행동치료, 생활습관 개선, 필요 시 약물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전 답변에서도 언급했듯이, 보다 자세한 상담은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와의 진료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
어느 병원으로 가야 하는지
정신건강의학과가 있는 병원을 방문하시면 됩니다. 대학병원, 종합병원, 개인 정신건강의학과 의원 등에서 ADHD 검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처음 방문 시에는 가까운 정신건강의학과 의원을 추천드립니다. 병원 선택 시, 인터넷 리뷰나 주변 추천을 참고하셔도 좋습니다. 또한, 초진이라면 예약을 하시는 것이 좋으며, 내원하시고자 하는 병원에 미리 문의 후 방문하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부모님과의 대화가 어려우시다면, 학교 상담 선생님이나 보건교사에게 도움을 요청해보세요. 혼자서 힘들어하지 마시고, 주변의 도움을 받아 문제를 해결해 나가시길 바랍니다. 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 문의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