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닥터나우입니다.
현재 상황에서 신경외과와 내분비내과의 의견이 다소 상반되어 고민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 갑상선기능저하증과 뇌하수체 선종(기능성인지 비기능성인지 불확실한 상태)이라는 복합적인 상황에서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 것은 매우 신중해야 합니다. 아래에 몇 가지 고려사항을 말씀드리겠습니다.
-
임신 준비: 첫 임신을 준비 중이시라면, 뇌하수체 선종이 호르몬 분비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으므로 임신에 미치는 영향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내분비내과에서 말씀하신 대로 약물 치료로 선종이 완전히 없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높고, 임신을 빨리 원하신다면 수술이 더 적합할 수 있습니다.
-
선종의 크기와 시야 장애: 선종의 크기가 9mm로 비교적 작은 편이지만, 시야 장애(흐릿하게 보임)가 이미 나타나고 있다면 수술을 고려해야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시야 장애는 선종이 시신경을 압박할 때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방치하면 악화될 수 있습니다.
-
수술의 위험성: 신경외과에서 언급한 대로 수술은 합병증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 뇌하수체 주변의 중요한 구조를 건드릴 위험이 있으므로, 수술을 결정하기 전에 경험 많은 전문의와 충분히 상담하시고, 수술의 필요성과 위험성을 명확히 이해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약물 치료: 약물 치료는 선종의 크기를 줄이거나 호르몬 분비를 조절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지만, 선종이 완전히 없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약물 치료가 임신 준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한 평가가 필요합니다.
추천: 현재 상황에서 임신을 빨리 원하신다면 내분비내과의 의견에 따라 수술을 고려하는 것이 더 적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수술의 위험성과 합병증 가능성을 충분히 이해하고, 신경외과와 내분비내과 전문의와 함께 최종 결정을 내리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추가적으로 MRI 등 정밀 검사를 통해 선종의 성격(기능성/비기능성)을 명확히 파악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결론적으로, 임신 준비와 건강 상태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신중히 결정하시길 바랍니다. 추가적인 질문이나 상담이 필요하시면 언제든 말씀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