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형·C형 간염의 체액 감염률과 증상은?
1. b형.c형 간염이 질액, 침 등 체액으로 감염률이 얼마나 있나요? 2.급성 b,c형 간염에 걸리면 증상이 어떤가요? 3.항원항체 검사를 하면 걸렸었는지, 어릴때 맞은 백신으로 생성된 항체가 남아있는지 알수있나요?
1. b형.c형 간염이 질액, 침 등 체액으로 감염률이 얼마나 있나요? 2.급성 b,c형 간염에 걸리면 증상이 어떤가요? 3.항원항체 검사를 하면 걸렸었는지, 어릴때 맞은 백신으로 생성된 항체가 남아있는지 알수있나요?
AD
B형 및 C형 간염은 주로 혈액을 통해 전파되며, 질액이나 침을 통한 감염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그러나 감염된 혈액이 포함된 체액이 점막이나 상처에 직접 접촉할 경우 감염 위험이 있을 수 있습니다. 특히 B형 간염은 성적 접촉을 통해 전파될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C형 간염은 성적 접촉을 통한 전파 가능성이 B형 간염보다 낮지만, 여전히 혈액을 통한 전파가 주요 경로입니다.
급성 B형 및 C형 간염에 걸리면 증상이 다양할 수 있습니다. 일부 환자는 무증상일 수 있지만, 증상이 나타날 경우 다음과 같은 증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피로감, 식욕 부진, 메스꺼움 및 구토, 복통(특히 오른쪽 상복부), 황달(피부와 눈이 노랗게 변함), 짙은 색 소변, 연한 색 대변 등이 있습니다. 급성 간염의 증상은 개인마다 다를 수 있으며, 심한 경우 간 기능 저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항원항체 검사를 통해 다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B형 간염의 경우, HBsAg(표면항원) 검출 여부를 통해 현재 감염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Anti-HBs(표면항체) 검사를 통해 과거 백신 접종으로 생성된 항체가 남아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C형 간염의 경우, Anti-HCV(항체) 검사를 통해 과거 감염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항체가 양성일 경우, 추가로 HCV RNA 검사를 통해 현재 감염 상태를 확인해야 합니다. 따라서 항원항체 검사는 과거 감염 여부와 백신으로 생성된 항체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데 유용합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B형 간염과 C형 간염에 감염 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C형 간염, B형간염 이둘은 간염바이러스라고 하지만 성관계로도 이르킬수 있다고 하는데 성기에도 감염이 되나요?
환자에게 사용했던 붕대가위에 살점이 아주 얕게 뜯어졌습니다. 체액이나 혈액이 묻었었던 가위인지는 정확히 확신할 수는 없으나, 주로 수액백 컷팅에 자주 사용하던 가위입니다. 그리고 이 가위를 병원에서 마지막으로 사용한지는 최소 5주가 넘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바이러스 감염에 대해서는 확률이 낮은 경우라고 볼 수 있을까요? 3년 전에 a형, b형 간염 항체 검사 후 예방접종은 한 상태이나, 파상풍 주사나 c형 간염 항체 검사는 실시하지 않았던 상태라 걱정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