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부인과에서 곤지름이 난 병변 위에 hpv 검사를 하는건가요?
산부인과에서 곤지름이 난 병변 위에 hpv 검사를 하는건가요? 아님 자궁입구 분비물 체취를 하는건가요? 아니면 둘 다 하는건가요?
산부인과에서 곤지름이 난 병변 위에 hpv 검사를 하는건가요? 아님 자궁입구 분비물 체취를 하는건가요? 아니면 둘 다 하는건가요?
AD
산부인과에서 곤지름이 발견되었을 때, 병변 부위에서 HPV 검사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이는 고위험군 인유두종 바이러스를 검출하는 검사로, 자궁경부암의 발병 가능성을 알아낼 수 있습니다. 또한, 자궁경부에서 분비물을 채취하여 HPV 검사를 추가로 진행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즉, 병변 위에서의 검사와 자궁입구 분비물 체취를 통한 검사 둘 다 가능하며, 환자의 상태나 의사의 판단에 따라 적절한 검사 방법을 선택하게 됩니다. 정확한 검사 방법은 담당 의사와 상담하여 결정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소음순 입구쪽에 양쪽 대칭으로 작고 말랑한 돌기가 하나씩 생겨서 산부인과에서 제거 받았습니다, 선생님은 곤지름 같다고 하셨는데 이때 따로 조직검사를 했던 건 아니었고, 후에 다른 부위에서는 곤지름이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또 HPV 검사 결과도 음성으로 나왔습니다. 그런데 남자친구가 HPV 11번 양성이 나왔는데요. 아무리 생각해도 제가 가지고 있던건 곤지름이 아니라 일반 유두종같다는 생각이 드는데 1. 남자친구가 HPV 11번 보균자라고 해도, 저에게 있었던 게 곤지름이 아닌, 유두종이었을 확률도 있나요? 2. 만약 제가 곤지름이 맞았다면, 엄청 극초기에 발견한것인데 병변을 빨리 제거 했기 때문에 바이러스가 음성이 나온걸까요? 3. 2년전 성경험이 없을때 가다실9가를 접종 했습니다. 이 접종이 HPV 감염을 막진 못했더라도 후에 회복에 도움이 조금이라도 될까요? 4. 이후 검사에서도 곤지름이 발견되지 않고, HPV 감염이 없다면 바이러스가 없다고 봐도 될까요?
HPV 11번을 가진 남성과 성기 접촉후 한달, 또 직접적인 삽입이 있던후 일주일 뒤에 산부인과에서 곤지름 초기같다 하시면서 약물치료를 해주셨습니다. 이때 따로 조직검사나 HPV검사를 시행하진 않았고, 일주일 정도 더 뒤에 다른 병원에서 진료를 본 결과 다른 부분에서 곤지름을 발견하진 못했고, HPV 검사 결과도 음성이 나왔습니다. 1. 곤지름을 초기에 발견해 제거했다면, HPV가 빠르게 소실될수도 있나요? 2. HPV를 가진 남성과 관계를 했더라도, 처음에 제가 가진게 곤지름이 아닐수도 있을까요? 3. 제가 했던 HPV 검사가 위음성 확률이 있다고는 하지만 접촉 한달, 성관계 2주 뒤에 한 HPV검사 결과가 그래도 신뢰가 있을까요? 4. 제게 곤지름이 생기진 않는지 주기적으로 병원에서 검진을 받고 싶은데, 검진 주기는 어느 정도로 하는게 좋을까요? 5. 만약 저에게 곤지름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추가적으로 HPV검사를 하는게 의미가 있을까요? 1년뒤에 해도 될까요?
배우자가 항문에 곤지름이 생긴것같아요~그럼 저도 산부인과에서 성병검사를 꼭 받아야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