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이 매우 막 나오고 뜨기 어려울 때, 건조증과 시력 저하의 관계는?
갑자기 눈이 엄청 매우면서 눈을 뜨기 힘들 정도로 막 나올 때가 있어요. 이 증상이 1년 2개월 정도 되었는데 의사쌤은 그냥 건조증이 심하다고만 하십니다. 건조증이 심해지고 난 이후부터는 눈이 엄청 안 보일 정도로 침침한데 이럴수 있나요? 저 아직 27살인데 벌써부터 이러니 우울합니다.. 눈도 근시가 심하구요ㅜㅜ
갑자기 눈이 엄청 매우면서 눈을 뜨기 힘들 정도로 막 나올 때가 있어요. 이 증상이 1년 2개월 정도 되었는데 의사쌤은 그냥 건조증이 심하다고만 하십니다. 건조증이 심해지고 난 이후부터는 눈이 엄청 안 보일 정도로 침침한데 이럴수 있나요? 저 아직 27살인데 벌써부터 이러니 우울합니다.. 눈도 근시가 심하구요ㅜㅜ
눈이 매우고 눈을 뜨기 힘들며 시력이 침침해지는 증상은 단순한 건조증 외에도 다른 원인이 있을 수 있어요. 건조증이 심할 경우 눈의 표면이 손상되어 일시적으로 시력이 떨어질 수는 있지만, 1년 2개월 동안 지속되고 증상이 심해진다면 가까운 안과에서 검사 및 진료가 필요할 것으로 보여요. 근시가 심한 경우에도 눈의 피로나 불편함을 느낄 수 있지만, 근시 자체가 위와 같은 증상을 직접적으로 유발하지는 않아요. 다음과 같은 가능성을 고려해 볼 수 있어요: 1. 안구건조증: 실제로 건조증이 원인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인공누액 등 적절한 약물로 증상을 경감시켜주고, 장기간의 컴퓨터 작업이나 게임기 사용, 독서 등을 피하고 중간 중간 적절한 휴식을 취해주는 것이 중요해요. 2. 알레르기성 결막염: 알레르기 반응으로 인해 눈이 가렵고 불편할 수 있어요. 3. 각막염: 각막의 염증이나 손상으로 인해 통증과 시력 저하가 발생할 수 있어요. 4. 기타 안과 질환: 녹내장, 황반변성, 망막질환 등 다른 안과적 질환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요. 27세의 젊은 나이에 이러한 증상을 겪는 것은 분명 스트레스가 될 수 있어요.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해보시는 것을 권장해요: 1. 안과 전문의와 상담: 증상이 지속되고 있다면 다른 안과 전문의의 의견을 들어보는 것이 좋아요. 필요한 경우 추가 검사를 통해 정확한 진단을 받을 수 있어요. 2. 생활 습관 개선: 컴퓨터나 스마트폰 사용을 줄이고, 충분한 휴식을 취하며, 눈을 자주 깜박이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아요. 3. 습도 조절: 실내에서는 에어컨이나 선풍기를 멀리하고 가습기를 틀어놓는 등 환경을 건조하지 않게 하고, 충분한 수면을 취하며 비타민 C, 블루베리, 견과류, 짙은 녹색 채소, 현미, 콩, 생선 등의 항산화 식품을 섭취하시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어요. 4. 보호 안경 착용: 바람이나 먼지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해 보호 안경을 착용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어요.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적절한 진단을 받고 그에 맞는 치료를 받는 것입니다. 우울감을 느끼신다면 정신건강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도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건강한 생활 습관과 적절한 치료를 통해 증상이 호전되길 바랍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눈 크게 뜨는 습관이 시력저하에 원인될수 있나요?
눈을 엄청 세게 깜빡여도 눈이 안 촉촉하고 흐리게 보이는 건 건조증이 심한 건가요? 그리고 1년 정도 되었는데 갑자기 눈이 매우면서 눈을 뜰 수 없을 정도로 눈물이 막 나올 때가 있어요. 이건 어떻게 치료해야 하는지요?
안구건조증과 실내온도는 연관이 있나요? 온도를 너무 높게 했을때는 자고 일어났을때 눈꺼풀이 붙는 현상이 있는데 낮게하니까 그런게 없어졌는데 건조증과 연관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