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화혈 6.5로 공복 72와 비교했을 때 높은 이유는? 관리 방법은?
임OO • 2024.12.18
건강검진 공복 131로 확진검사 대상이 되어 한달 후 검진하게 되었어요. 공복이 72가 나왔는데 당화혈이 6.5가 나왔어요 공복에 비해 당화혈이 너무 높은데 이유가 뭘까요? 검사는 생리 끝무렵에 했어요. 앞으로 어떤식으로 관리하는 것이 좋을까요?
당뇨
의료진이 질문을 확인하기 전이에요.
건강검진 공복 131로 확진검사 대상이 되어 한달 후 검진하게 되었어요. 공복이 72가 나왔는데 당화혈이 6.5가 나왔어요 공복에 비해 당화혈이 너무 높은데 이유가 뭘까요? 검사는 생리 끝무렵에 했어요. 앞으로 어떤식으로 관리하는 것이 좋을까요?
다낭성이 있고 다파원엠 서방정을 먹은지 일주일이 조금 넘었습니다. 그런데 생활습관 관리를 열심히 해도 공복혈당이 잘 떨어지지 않습니다.. 92 유지입니다. 당화혈이 5.8 이라 더 떨어뜨리고 싶은데 공복혈당이 안떨어져도 당화혈은 떨어질 수 있나요?
당뇨 합병증이라는게 혈당을 높게 유지하는 상황에서 오나요?? 10년째 당화혈 5.5에서 6.5 유지중입니다.
당화혈 5.8 , 인슐린 저항성 1.9 판정을 받고 다파원엠 서방정을 복용한지 열흘됐습니다. 공복혈당이 90, 식후 한시간 평균 혈당이 120, 식후 두시간 평균혈당이 110 정도 나옵니다. 그렇다면 삼개월 후 당화혈을 재측정했을 때 평균혈당에 대응하는 당화혈을 예측하면 어느정도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