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개월 아이의 고열, 해열제 먹이고도 열이 내려가지 않으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17개월 남아잌데요. 오늘저녁8시에 목욕하고 쳐저있어서 열을 쟀는데 39.3도가 나왔습니다. 오한처럼 부르부르 떨었어요..아세트아미노펜5cc먹이고 두시간후에 열재니깐 38.7도로 내려가긴했는데 여전히 고열이더라구요. 이부브로펜도 먹였습니다. 지금 자고 있는데 혹시 두시간후에도 열이 많이 떨어지지 않으면 해열제를 먹여야할지 문의드려요ㅠㅠ
17개월 남아잌데요. 오늘저녁8시에 목욕하고 쳐저있어서 열을 쟀는데 39.3도가 나왔습니다. 오한처럼 부르부르 떨었어요..아세트아미노펜5cc먹이고 두시간후에 열재니깐 38.7도로 내려가긴했는데 여전히 고열이더라구요. 이부브로펜도 먹였습니다. 지금 자고 있는데 혹시 두시간후에도 열이 많이 떨어지지 않으면 해열제를 먹여야할지 문의드려요ㅠㅠ
아이가 고열이 나서 걱정되시겠어요. 아이가 열이 나면서 잘 못 먹고, 축 처진 모습을 보인다면 탈수 위험을 염두에 두고 수액처치가 가능한 소아청소년과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지만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면서 열이 잡힌다면 조금 더 경과를 관찰하셔도 좋을 것으로 보여요. 아세트아미노펜과 이부프로펜은 해열제로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아세트아미노펜은 4~6시간마다, 이부프로펜은 6~8시간마다 복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두 약물을 번갈아가며 사용할 때는 각 약물의 복용 간격을 유지해야 하며, 하루 권장 복용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아이가 잠들었다면, 두 시간 후에 열이 얼마나 떨어졌는지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열이 여전히 높다면 (38.5도 이상), 해열제를 추가로 복용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아이의 전반적인 상태, 해열제 복용 이력, 그리고 약물 복용 간격을 고려하여 결정해야 합니다. 아이가 다음과 같은 증상을 보이면 즉시 의료진의 도움을 받아야 합니다: - 열이 39도 이상으로 지속되는 경우 - 발진이나 다른 이상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 의식이 혼미하거나 반응이 둔해지는 경우 - 탈수 증상이 보이는 경우 (예: 소변량 감소, 입술이나 혀가 건조한 경우) - 호흡곤란이나 가슴 통증이 있는 경우 아이의 상태가 호전되지 않거나 악화되면 즉시 병원을 방문하거나 응급 의료 서비스를 이용해야 합니다. 아이의 건강 상태에 대한 정확한 평가와 적절한 치료를 위해서는 의료 전문가의 진료가 필수적입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아기가 8개월입니다. 월요일 오후부터 컨디션도 않좋고 갑자기 열이나기 시작했어요. 열이 38.3도여서 소아과를 방문하여 약을 처방받았지만 해열제를 먹여도 열이 내려가질않아요. 시원하게 입히고 냉각시트도 붙이고 물수건으로 닦아봐도 내려갔다 금방다시 올라 다시한번 어제 오후에 병원방문하여 이상있는지 여쭤보았지만 다른이상은 보이지 않아 항생제 추가로 처방받아 먹였습니다.ㅜ 잠들기전 열이 내려가나싶었는데 30분전에 체온체크하니 또다시 열이 38.7도로 올랐습니다. 어떻게 해야할까요...ㅜㅜ
안녕하세요 24개월 아이의 엄마입니다 어제 소아과에 갔다왔는데요 아이가 기침해서 사진 찍어봐는데 폐렴초기에. 목에도 많이 부었답니다. 밤에는 열이 안 났고. 오전에 10시쯤부터 열이38도 나서 해열제 먹이고 지금은 37.1도입니다. 혹시 밤에 다시 열이 나고 해열제 먹여줘도 열이 안 내리면 응급실로 가야할지 걱정이 돼서 문의합니다 ㅜㅜ 답변 감사합니다.
10살 아들이 기침 열로 인해 코로나 검사 독감 검사 받았는데 음성이였습니다 약을 처방 받고 약을 먹었는데 저녁부터 고열이 심합니다 병원에서 처방 해주신 해열제 먹고 타이레놀도 먹였는데 열이 내리지 않습니다 어떻게 해야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