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가락 개방골절 수술 후 움직임 제한 원인 검사는?
손가락 개방골절 수술후 6개월이 넘었는대 손가락이 잘 안움직일때 원인을 찾으려면 어떤 검사를 받아야하나요
손가락 개방골절 수술후 6개월이 넘었는대 손가락이 잘 안움직일때 원인을 찾으려면 어떤 검사를 받아야하나요
AD
손가락 개방골절 수술 후 6개월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손가락이 잘 움직이지 않는다면, 여러 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검사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1. X-ray 검사: 뼈의 상태를 확인하여 골절 부위가 제대로 치유되었는지, 혹은 뼈의 변형이나 관절 문제 등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2. MRI 검사: 연부 조직(힘줄, 인대, 근육 등)의 손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힘줄이 유착되었거나 손상된 경우 MRI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초음파 검사: 손가락 주변의 연부 조직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신경전도 검사: 손가락 움직임이 신경 손상으로 인해 제한되는 경우, 신경전도 검사를 통해 신경 기능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5. 관절 초음파 또는 관절경 검사: 관절 내부의 문제(유착, 염증 등)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6. 물리치료 평가: 물리치료사와의 상담을 통해 관절 가동 범위와 근육 상태를 평가받을 수 있습니다. 손가락 움직임 제한의 원인은 뼈, 연부 조직, 신경, 관절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먼저 정형외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적절한 검사를 진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추가적으로, 재활 치료나 물리치료가 필요할 수도 있으니 전문의의 권고를 따르시길 바랍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손가락 골절 핀 수술 한 후에 춤추는 것은 문제가 없을까요?
손가락을 낫에 베어 2주간 봉합 후 실밥을 푼지 3주차입니다. 실밥을 제거후 붓기가 생겨서 가라앉지 않고 있고 손가락이 90도 까지도 굽혀지지 않아요. 실밥제거후 항생제도 한번 더 맞았습니다. 의사선생님께서는 초음파 결과도 이상없다고 하고 관절이 굳어있는듯하니 손가락을 굽히는 운동을 해주라고 하십니다. 그런데 붓기가 있는 상태에서 일주일정도 운동을 해줬는데 오히려 관절부분에 무리가 가고 붓기도 가라앉지 않고있네요. 손가락을 굽히면 붓기때문인지 관절윗부분의 살이 터질듯 아픕니다. 솔직히 붓기때문인지, 관절이 굳어있는지, 피부가 상처때문에 수축된건지 모르겠습니다. 상처관리는 나름 잘 해줬다고 생각은 하는데 원인이 무엇일까요? 그리고 어떻게 조치를 해야 할까요? 감사합니다
손목 골절 핀제거 수술 후 중지와 약지 절반이 계속 저리고 손가락 등쪽으로는 감각이 떨어져서 병원에 방문했는데 신경이 눌려서 그럴 수도 있고 정확한 원인은 알 수 없다고 진통제 처방을 받았습니다 괜찮은 걸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