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닥터나우 의료진입니다.
새우관련 음식을 먹은 후 목이 답답함과 함께 몸이 간지럽고 3일 정도 피부에 빨갛게 무언가 났다가 사라졌다 반복하고 있으시다니, 많이 불편하고 걱정되셨겠네요.
문의 주신 부분에 대해 안내 드릴게요.
결론부터 말씀 드리자면 IgE 수치 100은 특정 알레르겐이 원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추가적으로 다른 검사들을 고려해볼 수 있어요.
자세히 설명 드릴게요.
MAST 검사를 시행하셨는데 패널 중에는 양성인 것이 없고 total Ig E에만 양성이 나오셨다면, 패널 중에는 알레르겐이 없지만, 특정 알레르겐이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의미예요.
말씀하신 증상들은 식품 알레르기, 특히 갑각류(새우, 게 등)에 의한 알레르기 반응일 가능성이 높은데요.
하지만 Mast 검사에 특이항원 양성은 없고, 총 IgE 수치만 100으로 나왔긴 했지만 일부 사람들은 검사에서는 새우에 대해 음성이어도 알레르기가 나타날 수 있어요.
혹은 새우나 어패류는 잘못 보관되면 히스타민이 축적되어 히스타민 중독처럼 반응할 수 있는데요.
이 경우도 가려움, 두드러기, 목 답답함이 나타날 수 있어요.
목 답답함, 삼킴 곤란, 피부 증상은 아나필락시스 초기 증상일 수 있습니다.
다행히 호흡곤란이나 혈압 저하 없이 회복되셨지만, 향후 더 심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해요.
침을 못 삼킬 정도로 목이 불편했던 것은 정황 상으로 볼 때 목 내부가 알레르기 반응으로 부어올랐던 것으로 보아, 위험할 뻔 했던 상황이었습니다.
추가로 해볼 수 있는 검사는 피부단자시험 (Skin Prick Test) 방법이 있는데요.
가장 민감한 검사 중 하나이며, 새우 추출물을 피부에 소량 놓고 반응을 보는 방식이에요.
병원 알레르기내과 또는 피부과에서 시행 가능해요.
CAP 알레르기 정밀검사 (특이 IgE 검사)도 고려해볼 수 있는데요.
새우, 게, 조개 등 각각의 해산물에 대한 정확한 특이 IgE 수치 확인을 할 수 있어요.
이 검사는 알레르기내과에서 혈액으로 가능해요.
전문의 감독 하에 소량씩 문제의 음식을 먹여 반응을 관찰하는 구강유발시험 검사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같은 음식 다시 섭취 시 더 심각한 반응(아나필락시스) 가능성 있기 때문에, 재섭취는 전문의 상담 전까지 피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또한 아직 알레르기 반응이 가라앉지 않은 것으로 보이고, 얼굴에 남아있는 것은 재반응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이니 빠른 시일 내에 피부과 혹은 알레르기내과에 내원하여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어요.
많이 불안하고 걱정되실 수 있겠지만, 너무 걱정하지는 마시고 진료를 통해 적절한 조치 및 경과를 관찰해 보시면 좋을 듯해요.
질문자님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콘텐츠를 하단에 추천해 드릴게요.
닥터나우 '건강매거진' 콘텐츠도 읽어보시면 좋겠어요.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