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위 후 변이 물처럼 묽고 냄새가 안 나요. 의심되는 병은?
1주일 한번 자위 하는데 하야고 묽게 나오고 냄세 도 안나요 왜그런거죠 그렇게 된지는 장년부터 그랫어요 어던질병 의심 되나요 검사는 어던거 하나요 비용은 대략 얼마죠

1주일 한번 자위 하는데 하야고 묽게 나오고 냄세 도 안나요 왜그런거죠 그렇게 된지는 장년부터 그랫어요 어던질병 의심 되나요 검사는 어던거 하나요 비용은 대략 얼마죠
제가 연인이랑 성관계를 하루에 3번 정도 매일 했는데 어느날부터 성기 끝쪽 표피가 가렵기 시작하더니 각질 같은게 나타나더라구요. 포경은 안 했습니다. 매일 자주하다보니 건조한가 싶어 로션을 바르고 있는데, 24시간 내내 가려운게 아니라 몇시간 주기로 가렵더라구요. 특히 아침에 너무 가려워서 잠이 깰 정도입니다. 제가 걱정되는건 성병입니다. 한 연인이랑만 성관계를 가지는데 성병에 걸릴 수 있나요? (둘 다 처음입니다)
시프로플록사신 항생제를 밥먹고 바로 먹어도 되나요.. 바로섭취시 효과가 저하되나요? 식사시간이 들쑥 날쑥해서요..
만성 전립선염을 앓고 있는데 자기위로를 하면 정액이 안 나와요 2일 연속으로 엄청 아주 조금 나왔습니다 원래 이런가요?
아침에 첫오줌이 콜라색 같았는데 그뒤로 아랫배가 살짝 불편합니다. 2번째 오줌부터는 정상적인 색이나오는데 어디가 문제인가요?
남자친구가 오늘 아침에 갑자기 헤르페스 증상이 발현 되었다고 합니다. 이제껏 한번도 그런적 없었다고 하고, 성기에는 없다고 합니다. 저 또한 살면서 한 번도 없습니다. (다만 아프- 구내염이 잦고, 아주 어릴적 입술 근처 피부염이 1번 있었습니다.) 최근 잦은 야근과 주말 출근, 먼 거리 연애를 혼자 오고가며 피곤해 하고 체력이 부족하단 얘긴 많이 했습니다. 1. 이런경우 헤르페스 1형일 가능성이 높을까요? 2-1. 혹시 제가 보균자였는데 저도 모르게 옮겼을 가능성도 있을까요? 2-2. 구내염 있는 상태에서 구강성교로 1형 헤르페스가 옮을 수 있나요? 3. 피부과에서 저도 함께 검사가 가능할까요? (전 무증상) 4. 남자친구가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 것 같은데 도움을 줄 방법이 있을까요? 5. 1형은 첫 발현 전 잠복기가 길고, 2형은 첫 발현 전 잠복기가 1~2주 길게는 20주 안이라는데 둘다 무증상인 상태에서 둘 중 하나가 보균자일 가능성이 있을까요? (1년동안) 불안하네요 ㅠ
음낭 쪽에 농양이 차서 수술 후 JP Bag 을 달고 있는데 통 과 연결된 선이 빠져서 병원에 연락하니 다시 끼우면 된다고 해서 다시 끼우기는 했는데 이렇게 해도 상관이 없을까요?
항문 주변 곤지름을 제거할때 국소마취를 하면 부위마다 직접 일일이 주사를 놓는건가요? 항문바로옆에 곤지름이 있는데 거기다 주사를 놓면 많이 아픈가요?
제가요 전립선염 4개월 지나는데요 아직도 증상 재발 한가거요 아직4개월 밖에안됫는데여 퇴원 4개월만에 재발 은 설마 아니죠 소변잔뇨처럼
애널자위가 방광에 자극이 많이 되는걸까요?? 전립선마사지용으로 산건데 오히려 방광이 눌리는 느낌이 드내요..이럴경우 방광자극이 될까요? 방광은 튼튼하지만 신경같은것들이 예민한걸까요
대학병원에 가서 곤지름 관련 진료를 보고 곤지름을 다른데서 제거할려고 하면 진료의뢰서를 받을수있나요?
대학병원에 곤지름 진료보러갔는데 곤지름이 엄청 작은거 하나만 있으면 당일제거 해줄수도있나요?
아침 첫 소변시 거품이 생겨있는데요 많지는 않지만 일부가 5분이 지나도 남아있습니디. 신장이 안좋아서 그런건지 문의드리면 두달전 소변검사에서 단백뇨는 검출되지 않았습니다.
방광이나 전립선이 감염되면 소변색이 어떻게 변할까요..전립선염 항생제를 먹고있는데 소변을 누다가 색깔이..좀 연갈색빛? 조금 탁한느낌의 소변을 봣는데요.. 진하진 않앗는데 염증이 나서 피가 나오는것 같기도하고 약 다먹고 또 가봐야할까요..
성별은 남자이고 음모 안쪽 피부가 가려운데 왜이러는 건가요??
헤르페스 억제요법 하려고 하는데 처방할수있는 곳이 궁금해요
매독자가키트 애보트 바이오라인 씨필리스 3.0을 사용해서 14주(98일째) 음성결과를 받았습니다.. 검사결과를 어므정도 신뢰할수 있을까요? 이 후에 양성으로 전환될 가능성은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건강검진을 받았는데 결과통보서 기타 항목에 단백뇨가 보이므로 추후 소변검사를 받기 바란다는 통보가 왔습니다. 그런데 수치 결과지를 보니까 요검사 결과에 단백뇨 의심이 아니라 경계 란에 체크가 되어있더라구요 이경우에는 어디에 가서 검사를 받으면 되는지, 의사선생님게는 단백뇨 의심때문에 검사받는다고 해야할지 아니면 다른 설명을 드리는게 더 정확할지 여쭤봅니다.
탄산음료의 이뇨작용이 얼마나 강한가요?? 1리터를 마신다하면 이뇨제약이랑 비슷한 효과가 나오나요..?
헤르페스 2형인데 가족끼리 외식을 가서 같이 비말이 섞일수도 있고 그런데 감염 가능성이 있나요? 걱정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