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피소대 상처에 마데카솔 계속 발라야 하나요?
포피소대가 찢어졌었는데 처음에는 샤워할때 물 들어가도 아프고 상처 부위 씻는데도 엄청 아팠었는데 지금은 상처부위 아문건지 상처부위를 만져도 아프지 않아서 거의 다 나은거 같은데 지금 까지 꾸준히 마데카솔을 발라주고 있었는데 이젠 안발라도 될거 같아서 궁금해서 작성 해봅니다 완치 까진 아니지만 계속 바르는게 좋을까요 아니면 안발라도 괜찮을까요?

포피소대가 찢어졌었는데 처음에는 샤워할때 물 들어가도 아프고 상처 부위 씻는데도 엄청 아팠었는데 지금은 상처부위 아문건지 상처부위를 만져도 아프지 않아서 거의 다 나은거 같은데 지금 까지 꾸준히 마데카솔을 발라주고 있었는데 이젠 안발라도 될거 같아서 궁금해서 작성 해봅니다 완치 까진 아니지만 계속 바르는게 좋을까요 아니면 안발라도 괜찮을까요?
작년 9~10월 쯤에 관계 후 포진같은게 올라와서 STD 12종 검사를 하고 헤르페스 2형 양성 판정받았고 다른건 자세히 기억이 안나는데 위험한 병 같은건 음성 나왔습니다. 그러고 3주 전쯤부터 면역력 떨어져서 그런지 재발을 해서 닥터나우에서 처방전 받아서 발트렉스 500mg 먹고 에르페시버 크림 발랐는데 2주 전쯤부터 성기 안쪽 다른곳에 쥐젖처럼 생기더라고요 오늘 샤워하면서 그 안에 있던 하얀? 노란? 좁쌀같은게 짜진 것 같고 피가 나왔는데 좀 없애고 싶습니다. 처방전 같은거 받을 수 있을까요? 아니면 관리법이나 영양제 아니면 약국에서 개인이 구매할 수 있는 의약품 추천 받고 싶습니다. 지금 기숙사고 출근때문에 오후 5시까진 통화를 못해서 실시간 상담 남깁니다. 처음사진이 재발초기, 다음이 복용한 약, 그리고 지금 상황입니다.
치핵으로 인한 치질 3기인데 수술 없이 자가치료 가능한가요?? 어떤 약이나 어떤 연고 써야하나요?
큐데나필 50mg 처방받아서 먹었는데 일단 부작용같은건 없는데 효과도 하나도 없어요..다른 약을 먹어봐야 될까요?
혀 안쪽에 아픔과 돌기 몇일전부터 너무 따가워서 보니까 저런 상태입니다 윗부분이 찢어져서 저렇게 된건지, 혹시 구강 곤지름 같은건지 궁금합니다
소변에 피가 섞여서 나오고 소변볼때 너무아파요
포경한지 2주가 되었는데 발기시 성기가 버섯모양이아닌 일자모양이 됩니다 어떻게 해야하나요
귀두표피염 진단받고 베아로반 이틀째 바르고 있는데 샤워할 때 물로 씻으니까 하얗게 막같은게 벗겨집니다. 통증은 없고 베아로반 바른 직후에 살짝 가려움이 있습니다. 이상이 있는건가요?
전립선비대증약과 과민성방광염약을 먹고있습니다. 1. 어머니가 요실금이라고 쓰시는 소피라고 하는걸 남자가 써도 되나요? 2. 약으로도 증상이 좋아지지 않는다면 어떻게되나요?
과민성방광염과 전립선비대증 판정을 받고 약을 먹고있습니다. 1. 역행성 사정이 무엇이고 그럼 자위도못하는건가요? 2. 일상생활에서 계속 찔끔찔끔나오다보니 정말못참는거아니면 화장실을 안가고있는데 괜찮은건가요?
성관계 할때마다 방광염이 생기는데 저는 잘 씻고하는데 남자가 안씻고 했는데 그래서 걸리는건가요? 소변볼때 통증이 너무 심하고 가만히 있어도 통증있는데 너무 아파요 ㅠㅠ
고환 위아래가 뒤바뀐거 같아요 고환이 수축하면서 오른쪽 고환이 가로가 되었었는데 이게 세로로 돌아오면서 위아래가 뒤바뀐거 같아요 아프진 않는데 단순 위아래가 뒤바뀐것도 문제가 되나요?
오후부터 갑자기 왼쪽 고환이 부어서 아픕니다 간지럽거나 빨갛지는 않아요 이유가 뭘까요
포경수술 이후 수술 부위가 3mm정도 벌어졌는데 괜찮나요?
사정 후에 졸린 이유가 뭔가요?
요로결석 통증은 얼마나 가나요? 새벽에 응급실 방문 후현재 간헐적으로 통증이 있어요. 또 병원에서는 크기가 작아 자연배출을 기다리라했는데 언제쯤 배출될지도 궁금합니다.
정자검사했는데 정상정자 1%면 기형정자증인가여?
제목: 85세 아버지 신우암 의심 종양, 치료 방향 상담 요청 안녕하세요, 선생님. 아버지(85세)는 우측 신우암 의심으로 3월 25일 근치적 신장 절제술이 예정되었으나, 혈뇨·통증 등 증상이 없고, 소변·혈액·요관경 조직검사에서도 암이 검출되지 않아 가족 논의 후 3개월 경과 관찰을 결정하였습니다. 현재 신장 기능은 50 정도이며, 5월 28일 추가 검사, 6월 4일 결과 확인을 예약한 상태입니다. 의료진께서는 전이 위험 및 요로 폐색 가능성을 우려하셨는데, 3개월 내 전이 가능성이 높은지, 수술 외 대안적 치료(스텐트 등) 고려 가능성, 추가 검사 시 중점적으로 확인할 항목에 대해 조언 부탁드립니다. 아버지는 수술을 부담스러워하시며, 가족 간 의견도 엇갈려 신중한 판단이 필요합니다. 선생님의 의견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매독 후기 잠복 같은데 혈액 검사시 병원에서 잠복균이 나왔다고만하고 미세해서 치료하자고는 하지 않습니다. 근데 피검사 때마다 나와서 찝찝한데 치료하고 균검출이 안되게 할 수는 없을까요?
성기 모낭염 짜도 되나요? 어차피 터질텐데 짜도 상관없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