늑안골염 치료, 소염진통제가 최선인가요? 빠른 치료 방법과 가만히 있어도 통증을 느낄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늑안골염의 치료는 소염진통제를 먹는 게 최선인가요? 빠르게 고칠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가만히 있어도 통증을 느낄 수 있는지도 궁금하고요.

늑안골염의 치료는 소염진통제를 먹는 게 최선인가요? 빠르게 고칠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가만히 있어도 통증을 느낄 수 있는지도 궁금하고요.
늑연골염이 있으면 쉽게 피곤해지고 졸립기도 하나요?
고혈압으로 콩코르정 2.5mg 복용중입니다 콩코르정의 부작용 중 하나가 서맥으로 알고 있는데요 서맥 증상이 나타나는것 자체가 부작용이어서 담당의사와 상의해야하는지 아니면 서맥은 있을 수도 있으나 서맥과 함께 증상이 있어야 의사와 상담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콩코르정 복용 전 안정맥박이 65~75였구요 복용 후 안정맥박 55 잠들기 전 50초반 나와서요 50까지는 서맥으로 안본다는 글도 봤어서 더 헷갈리네요 일상생활에서는 불편한 증상 없었구요 잠들기 전에 어지러움 증상이 있는데 이게 잠들기 전이라 그런건지 서맥때문에 그런건지 헷갈리네요 건강에 예민해져서 더 헷갈리는거 같기도 해요
코로나재감염 잘되는사람있나요 ? 백신 저는 올해 2가백신맞아습니다 2024년에 접종하면되나요? 2022년3월감렴이력있습니다 그런데 저희가족중에 엄마 저는 고2 동생은 코로나2번이상걸려습니다 동생은 3번 4번이상 걸릴수있나요
혈압문제로 콩코르정2.5mg먹고 있습니다 안정맥박이 50~60사이입니다 앉아있을때 60이 조금 안되구요 잠자기 전에 50초반정도 됩니다 약 복용하기 전에는 65~75정도 였습니다 맥박 외에 일상에서 특징적인 부작용은 없지만 잠들기 전에 머리가 어질어질한 기분이 들긴합니다 이게 잠들기 전이라 그런건지 서맥 때문에 그런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정상치일까요? 아니면 의사와 상담해볼까요?
대상포진으로 6일째 약을먹구 있는데요 가슴밑에 와 등에 포진이 있는데 샤워를 해도 되는지요
오후3시에 밥먹고 오후8시에 항생제와 이것저것 약먹었는데 속이쓰립니다. 약때문에 속이쓰린걸까요?
안녕하세요. 위내시경 검사 받았는데, 관찰소견은 위염, 식도염, 위용종이 써있고, stomach, body, anterior wall, forceps polypectomy : suspicious lymphoid infiltrate (see note) 라고 표기되어있습니다. 조직검사에서 림프 침윤 소견이 보여 3개월 뒤 추적검사를 권한다고 써져있는데, 무슨 뜻일까요? 위암이라는 뜻인가요?
배가 너무 아파요 음식을 먹어도 안먹어도 배가 아파요 근데 변을 볼려고 하면 변은 안나와요..
설사,토는 안 하는데 뭘 먹기만 하면 속이 더부룩해지고 체한듯한 느낌이나면서 조금 후에는 배가 아파요 이거 장염 맞나요??
지금 병원에 못가는 상황이라 여쭤봅니다 갑상선 암 증상중에 쇄골위에서 두근거릴때 마다 들어갔다 나오는 모습을 띄나요?
야식을 줄이고 싶은데 어떻게 하는데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밤에 배고픈건 진짜 실제로 칼로리가 부족해서 배고픈건가요? 저녘은 잘 챙겨먹는데
18살 청소년 입니다. 오늘 아침에 변을 보다 갑자기 변이 쭉 나오는 느낌이 있어 봐보니 평소보다 두깨가 얇게 나오던데 엄청 얇게 나온건 아닌데 검색해보니 대장암 일수도 있다 해서 걱정되서 질문 해봅니다. 평소에도 가끔 1,2번씩 평소보단 얇게 나오는적이 있기는 한데 다른 통증이나 혈변 그런증상은 없는데 그냥 일시적으로 그런걸까요? 대장암은 아니겠죠?
혈압이 저번에 쟀을 때에는 97, 58, 맥박 87로 나오고 오늘은 95, 68, 맥박 70으로 나왔는데 정상일까요?
아침부터 소화가 안되는 건 아닌데 명치 부근에 통증이 있습니다. 허리도 조금 아프고 속이 부글거리는 것도 아닌데 명치가 계속 아파서 힘들어서요. 감기도 아닌데 기침도 계속하구요.. 왜 일까요?ㅠㅠ
안녕하세요 목요일 A형독감 판정후, 오후2시까지 페라미플루 와 엉덩이 주사를 맞았습니다 열은 금요일 오전까지 나고 오후부터 쭈욱 36.1~36.5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질문) 페라미플루 주사 이후 24시간동안 해열제 복용없이 열이 없다면 격리해제가 된다는데. 제 약에는 해열진통제인 이부프로펜정이 있어서 언제쯤 활동을 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혹시, 이부프로펜정을 빼고 복용을 해보는게 도움이 될까요?
신경계 자가면역쪽 치료를 위해 1) 올해 8월부터 신경계 약을 소론도 12알부터 시작해서 자금은 2개로 줄여나가고 2) 2달 전부터는 소론도와 면역억제제를 함께 먹고 있는데 3) 오늘 고열 38.9도이고 목따가움 있고 춥고 몸살 있습니다. 4) 장애인증 있습니다. => 다른 해열제나 다른 독감약 복용 가능할까요?
발목인대 봉합술 후 Crp 수치가 1.4가 나왔습니다. 어떡하죠?
밤샘 일주일째인데 목 안에서 피가 넘어가는듯한 찝찝하고 약간 칼칼한것같은 느낌이 듭니다. 코피 나면 고개를 젖히면 안된다 들었던것같은데, 누워도 되나요? 자고싶습니다
평소에도 몸이 움찔(경련처럼 떨린다는 느낌보다는 틱처럼 짧게 움찔하는 느낌)거리고, 서있을 때보단 앉아있을 때, 앉아있을 때보단 누워있을 때 자주 발생합니다. 움찔하는 주위는 몸 전체가 다 불규칙하기 번갈아가면서 증상을 보입니다. 그리고 밤에 잘때도 계속 움찔거려서 잠에 몇번 깼습니다. 수면시에만 움찔하는게 아니라서 수면장애는 아닌 것 같은데 혈액에 문제가 있는걸까요? 갑상선 기능이 안좋아도 이런 증상이 올 수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