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성나이와 황반변성 진단 후 6개월 후 재검사 권유, 걱정되는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안과에서검사중 건성나이관련 황반변성이고 6개월후에 다시검사하자고합니다.아무런 약도없고그냥두고보자는데걱정입니다.어떻게하면되겠습니까?안구건조증도 심합니다.
안과에서검사중 건성나이관련 황반변성이고 6개월후에 다시검사하자고합니다.아무런 약도없고그냥두고보자는데걱정입니다.어떻게하면되겠습니까?안구건조증도 심합니다.
AD
황반변성은 눈의 망막 중심부인 황반에 변성이 생기는 질환으로, 시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심각한 상태입니다. 건성 황반변성은 황반변성의 초기 형태로, 습성 황반변성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주기적인 정기 검진이 중요합니다.
안과 의사가 6개월 후 재검사를 권유한 것은 상태의 변화를 주의 깊게 관찰하기 위함일 것입니다. 현재 증상이 안정적이고 진행 속도가 느린 경우, 즉각적인 치료 대신 정기적인 관찰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걱정이 되신다면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하실 수 있습니다:
생활 습관 개선: 금연, 균형 잡힌 식단 유지, 특히 루테인과 제아잔틴이 풍부한 녹색 잎채소 섭취, 정기적인 운동 등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영양 보충제: 황반변성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비타민과 미네랄 보충제를 섭취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안과 의사와 충분한 상담을 통해 적절한 눈 영양제를 추천받으세요.
안구 건조증 관리: 인공눈물이나 점안액을 사용하여 안구 건조증을 관리하고, 습도를 조절하거나 컴퓨터 사용 시 눈의 휴식을 취하는 등의 방법으로 증상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정기적인 안과 검진: 6개월 후 재검사 외에도 눈에 이상을 느낄 때 즉시 안과를 방문하여 상태를 확인하세요.
시력 변화 모니터링: 집에서도 Amsler grid(암슬러 격자)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시력 변화를 주기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건성 황반변성은 표준화된 치료법이 아직 없다고 해요. 주기적인 정기 검진과 눈 영양제 등을 통하여 예방하는 것이 가능하며 외출 시 자외선 차단을 위해 선글라스를 착용하고, 금주 및 금연을 하는 것이 건성 황반변성 증상 개선에 도움이 된다고 해요. 의사의 지시를 따르고, 생활 습관을 개선하며, 필요한 경우 전문가와 상담을 통해 추가적인 조치를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2년전에 황반변성 진단받았는데 그때 인공눈물만 처방받고 6개월마다 정기검진 오라고 하셔서 지금 다니고 있어요 이 어플안에서 검색해보니 항산화제가 도움이 된다는데 맞나요?
갑상선우엽3.6 4.7mm하나가석회화 병원에서6개월뒤보자고하네요 어떻게해야할지요
건강검진후 칼슘수치가 10.9가 나왔습니다 3개월후 재검사 해보라는데 골다공증약이나 칼숨과잉 섭취로 인하여 이런 수치가 나올수있는건가요 또 걱정이 앞서 좀더일찍 1~2달 후에 재검사를 받아도 검사에는 영향이 없을런지요 악성종양이 있다면 칼슘수치가 증가하기도 한다해서 걱정이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