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닥터나우 의료진입니다.
정확한 것은 해당 병원과 약국에 확인을 해보셔야 하겠으나 질문자님께서 진료를 보시고 약수령은 배송이 아닌 직접수령으로 선택하시어 해당 처방전을 약국으로 팩스로 보내셨다면 닥터나우 진료시 나온 금액은 약제비 금액이 아닌 진료비금액만 확인하실 수 있어요. 왜냐하면 약제비 가격은 약국에서 책정이 되는 것이기에 직접수령의 경우엔 약국에 가셔야 확인이 가능하고 배송을 선택하셨을 경우 배송비를 포함하여 약제비의 최종금액이 진료비 하단에 확인이 돼요. 또한 약제비는 닥터나우에서 책정하는 것이 아니라 약국에서 금액을 확인해주게 돼요.
따라서 이소티논의 경우 비급여 이기에 말씀하신 것 처럼 보통 2만원 가량의 약제비가 발생하는 것이 보통이며 만약 해당 약국에 이소티논이 없어 대체 조제가 되었다면 가격의 변동은 발생할 수는 있겠으나 큰 차이가 없을 것으로 보여요. 제가 답변드린 상황이 맞다면 앱내 처방전 가격은 진료비로만 발생한 가격만 보여지는 것이고 택배수령의 경우엔 약제비가 같이 하단에 명시되는 것이 맞으니 상황을 확인해보시고 안내드리는 부분에 있어 내용이 부족할 경우 결제 및 배송에 관한 것은 익일 닥터나우 고객센터로 다시 문의하시길 안내드려요.
무료상담 서비스는 의료 행위(의사의 진료)를 대신할 수 없는 점 양해 부탁 드려요.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더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