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독 치료 후 임신 시 선천성 매독 가능성은 있을까요?
8년전 매독치료했고 사정상 완치확인은 못받았는데 그 이후로 산부인과에서 하는 균검사 등등에서는 매독균 있다고 나오지않았구요 산전검사 막달검사에서도 매독관련된 말씀 없으셨고 전부 정상이라고 하셨어요 이런경우 아기한테 선천성매독??이런거 생길확률이 있을까요..?
8년전 매독치료했고 사정상 완치확인은 못받았는데 그 이후로 산부인과에서 하는 균검사 등등에서는 매독균 있다고 나오지않았구요 산전검사 막달검사에서도 매독관련된 말씀 없으셨고 전부 정상이라고 하셨어요 이런경우 아기한테 선천성매독??이런거 생길확률이 있을까요..?
매독은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완치될 수 있는 성병이지만, 치료가 실패하거나 치료 완료 후에도 다시 재감염이 될 수 있어요. 매독 치료 후 완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치료 후 몇 주에서 몇 달에 걸쳐 혈액 검사를 통해 항체 수치를 확인합니다. 치료가 성공적이었다면, 항체 수치가 점차 감소하게 됩니다. 산부인과에서 정기적인 검사를 받으셨고, 매독균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산전검사에서도 매독과 관련된 이상이 없다고 하셨다면, 선천성 매독의 위험은 매우 낮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선천성 매독은 임신 중에 매독에 감염된 어머니로부터 태아에게 전달될 때 발생합니다. 따라서 치료를 받고 완치되었다면, 아기에게 선천성 매독이 전달될 가능성은 거의 없습니다. 그러나 정확한 진단과 상담을 위해서는 산부인과 전문의와 상담을 통해 추가적인 검사나 조치가 필요한지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걱정이 되신다면, 출산 후에도 아기의 건강 상태를 주의 깊게 관찰하고 필요한 경우 소아과 전문의와 상담을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이전에 병력이 있어 치료를 하였으나 항생제는 세균을 죽이는 것도 있지만 더이상 증식 못하게 억제시키는 것도 있기 때문에 항생제를 사용해도 균의 일부는 몸에 존재할 수 있어 해당 관계를 가진 사람이 확인하지 않는 이상 성병으로 부터 100% 안전하다고는 말씀드리기 어려워요.
꼭 확인해주세요.
흑색종 관련해서 여쭤봅니다 선천성 점 이 흑색종 으로 변하는 경우가 극히 드물다고 들었습니다 일반 0.8cm 선천성 점 이 암 으로 변하지는 않나요? 선천성 점 이 2센치 넘어가야 확률이 높나요?
볼에 딤플 귀에 스킨텍 무슨과 진료봐야할까요?
선천성 사경의 성인 치료 효과 얼마 전 운동 중 제 양쪽 목 길이가 다른 것 같다는 느낌을 받았고, 8살에 목뒤틀림증에 대해 수술을 했던 것이 기억나 조금 찾아보았습니다. 피로와 두통, 턱과 뺨이 치우친 안면 비대칭 등 증상이 일치하더군요. 여러 방식 중 SCM bipolar release의 경우 사경을 방치한 채 성장한(수술 시점 평균 27살) 환자들을 수술 후 추적 관찰하니 효과가 좋았다는 논문이 있더라고요. 그런데 저처럼 이미 동일한 수술을 했던 사람도 충분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지 알고 싶습니다. 가능하다면 해당 항목이 보험 적용되는지도 알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