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 조기잠복성매독
30대초반 남자 매독 검사후 결과지에 조기잠복성매독의 기준은 어떤걸로 확인하나요? 인터넷보면 1년이내 2년이내 라는 글들이 있던데 그 시점이 1년이내인지 아니면 무증상으로 몇년을 지내왔는지 결과지로 알수 있는지요? 매독으로 인해 황반변성?이란 안구질환이 생길수도 있나요?
30대초반 남자 매독 검사후 결과지에 조기잠복성매독의 기준은 어떤걸로 확인하나요? 인터넷보면 1년이내 2년이내 라는 글들이 있던데 그 시점이 1년이내인지 아니면 무증상으로 몇년을 지내왔는지 결과지로 알수 있는지요? 매독으로 인해 황반변성?이란 안구질환이 생길수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닥터나우 의료진입니다. 잠복매독은 매독 감염의 혈청학적 증거는 있으나 임상적 증상이나 증후가 없는 경우로 정의하는데요. 건강검진이나 수술 전 검사, 헌혈, 산전 검사 등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성 상대자가 매독 진단을 받아 함께 발견되는 경우도 있어요. 잠복매독은 조기 잠복매독과 후기 잠복매독으로 나누는데, 이는 전염성이 있는 2기 매독으로 거꾸로 진행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에 따른 분류에요. 대개 감염 시점에서 1년 경과를 기준으로 조기 잠복매독과 후기 잠복매독으로 나누는데(세계보건기구의 기준은 2년), 감염 시점을 알지 못하는 경우 1년 이상으로 간주하여 후기 잠복매독으로 분류하며 실제 임상 진료에서 접하는 대부분의 경우는 감염 시점을 알지 못하는 후기 잠복매독에 해당한다고 해요. 매독은 생식기 감염 뿐 아니라 심장, 뇌 및 자율신경, 안구, 뼈 및 근육 등 다양한 신체계통으로 파급되어 질병을 유발할 수 있으나 황반변성과의 직접적인 연관성 확인은 어려운 것으로 보여요 무료상담 서비스는 조언의 역할이기 때문에 병명을 진단할 수 없는 점 양해 부탁드려요.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더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목소리를 듣고 좋은 서비스를 제공해드릴게요.
최근 비뇨기과에서 잠복매독 판정을 받았습니다. 비슷한 시기에 이전 파트너는 혈액검사, 질내 조직검사를 받았습니다. 검사결과 매독 음성판정을 받았는데 이전 파트너는 잠복매독에 대해서 안전한가요? 저로 인하여 이전 파트너에게도 잠복매독을 옮길 가능성이 있나요?
최근 비뇨기과에서 잠복매독 판정을 받아 상급병원으로 가라고 했습니다. 경기도권에서 잠복매독 정밀 검사가 가능한 상급병원이 있을까요?
매독검사결과지 입니다. 2024년3월 검사지와 2025년 2월 검사지 입니다 모두 음성판정 받았습니다. 근데 RPR과 TPLA수치과 올라갈수도 있나요? 작년보다 수치가 확연히 차이나서 궁금합니다 이런경우 잠복매독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