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도근시인데 안압이 높아서 머리가 무겁고 눈이 뻐근한데, 갑자기 안압이 높아지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고도근시인데 안압을 재면 늘 19~21로 유지되는 편입니다. 녹내장이나 그런 건 아직 없구요. 안압이 높아서인지 가끔 머리가 무겁고 눈이 뻐근한 느낌이 들어요ㅠㅠ 걱정되는 게 이러다 갑자기 안압이 확 높아져 버리면 어떻게 하나요? 안과 정기검진 받고 이상 있을 때마다 검진 받기는 하는데 갑자기 그러면 어케 해요...?
고도근시인데 안압을 재면 늘 19~21로 유지되는 편입니다. 녹내장이나 그런 건 아직 없구요. 안압이 높아서인지 가끔 머리가 무겁고 눈이 뻐근한 느낌이 들어요ㅠㅠ 걱정되는 게 이러다 갑자기 안압이 확 높아져 버리면 어떻게 하나요? 안과 정기검진 받고 이상 있을 때마다 검진 받기는 하는데 갑자기 그러면 어케 해요...?
고도근시 환자분이시고 안압이 19~21로 유지되고 계시다면, 일반적으로 안압 범위 내에 있지만, 고도근시 환자의 경우 녹내장 발생 위험이 높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안압이 갑자기 높아지는 경우를 급성 녹내장 발작이라고 하며, 이는 응급 상황으로 취급되어야 합니다. 급성 녹내장 발작의 증상으로는 갑작스러운 시력 저하, 심한 눈 통증, 두통, 구역질, 구토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응급실을 방문하거나 가까운 안과 전문의와 상담해야 합니다. 만약 안압이 높아져서 불편함을 느끼는 경우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1. 안압을 낮추는 약물은 의사의 지시하에 사용해야하므로 우선은 생활습관 교정을 해주세요. 2. 얼굴에 피가 쏠리는 자세를 하면 안압이 같이 높아 질수 있으며, 장시간 오래 화면을 쳐다보거나 책을 읽는 행동, 어두운 곳에서 책일보거나 화면을 보는 행동을 피해주세요 3. 물을 많이 마시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과도한 수분 섭취는 안압을 높일 수 있습니다) 4. 카페인 섭취를 줄입니다. (카페인은 안압을 일시적으로 높일 수 있습니다) 5. 스트레스를 관리하고, 규칙적인 생활습관을 유지합니다. 정기적인 안과 검진을 받으시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검진을 통해 안압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경우 조기에 치료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만약 불안하거나 증상이 심해지는 경우에는 즉시 안과 전문의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중고도근시인데 한 5년 전?쯤 아침에 자고 일어났을 때 눈이 많이 뿌옇게 안 보였어서 안과에 가서 안압검사를 했었습니다. 그때 안압이 27로 높게 나왔었는데 그 이후 안압이 높아진 적은 없지만 왜 그렇게 높게 나왔던 걸까요? 특별한 원인도 없었던 것 같은데..
경도 근시 2.25 디옵터 인데 녹내장 위험이 클까요? 32살 이구요. 남자 녹내장 위험이 고도근시 부터 라고 하던데 맞나요? 경도 근시여도 안압이 좀 높아도 고도근시보다 위험 한가요?
안압이 있을때 높은 배게 비면 눈이 충혈 되나요? 근시인데 2.25 디옵터 양쪽다 안경 쓰고나서 높은 배게 누우니 갑자기 눈에 압력 느낌 들면서 눈이 시뻘개집니다. 안경 쓰기전에는 안압도 없고 높게 벼도 눈 충혈은 안됬는데 왜 그런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