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후피임약 복용 주기와 정자 생성기간 관련 질문
여자친구와 3월25일에 관계중 콘돔이 찢어져 26일에 사후피임약을 먹고 4월2일~7일에 생기후 4월14일에 관계중 또 콘돔이 찢어졌는데 사후피임약을 먹어야될까요? 아님 안먹어도 되나요 (2일전에 자위를 했습니다) (정자 생성기간이 12주라고 하더라고요..)
여자친구와 3월25일에 관계중 콘돔이 찢어져 26일에 사후피임약을 먹고 4월2일~7일에 생기후 4월14일에 관계중 또 콘돔이 찢어졌는데 사후피임약을 먹어야될까요? 아님 안먹어도 되나요 (2일전에 자위를 했습니다) (정자 생성기간이 12주라고 하더라고요..)
사후피임약은 성관계 후 가능한 빨리 복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일반적으로 성관계 후 72시간 이내에 복용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여자친구가 3월 26일에 사후피임약을 복용했다면, 그 효과는 그 관계에 대해서만 적용됩니다.
4월 14일에 다시 콘돔이 찢어진 경우, 임신을 원하지 않는다면 추가적인 사후피임 조치를 고려해야 합니다. 사후피임약은 한 주기에 1회 복용을 원칙으로 하고 있어요. 2회 이상의 잦은 복용은 여성의 몸에 부담을 주거나 오히려 피임효과를 떨어뜨릴 수 있어요. 그러나 긴급한 상황에서는 임신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정자 생성 기간이 약 12주라는 것은 정자가 완전히 성숙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이것이 사후피임약의 필요성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성관계 시 정자가 여성의 몸 안으로 들어갔다면, 그 정자는 여성의 생식기 내에서 최대 5일 정도 생존할 수 있습니다.
2일 전에 자위를 했다는 것은 이번 성관계와 관련하여 사후피임약 복용 결정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중요한 것은 무보호 성관계가 있었고 임신을 원하지 않는다면, 사후피임약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따라서 4월 14일의 무보호 성관계에 대해 임신을 원하지 않는다면, 가능한 빨리 사후피임약을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단, 사후피임약은 한 생리주기 동안 1회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체내 호르몬 농도가 높아져 신체를 급격하게 변화시켜 각종 부작용을 경험할 수 있는 것도 염두해 두어야 해요. 그만큼 여성의 몸에 매우 큰 부담이 될 수 있어요. 임신에 대한 확률은 수치상으로 정확히 안내드리기 어려우며, 재복용에 대해서는 부작용에 대해 충분히 숙지 후 의사와의 상담을 통해 결정하실 것을 권유드려요.
꼭 확인해주세요.
AD
사후피임약 복용 후 경구피임약 복용에 관련해 질문드립니다. 사후피임약 복용하면 생리주기가 바뀐다고 알고 있는데 바뀐 생리주기 첫 날에 복용하면 되나요?
남친이 소변을 본후 몇분뒤에 관계를 했는데 다 들어가지는 안았고 조금 비비다가 콘돔 끼고 했는데 혹시나 적은 확률로 임신이 될련지 궁금합니다. 빠른 답변 부탁드려요ㅠㅠ
제가 사후핌약 12월에 먹고 세달간 주기가 뒤틀렸다가 생리주기가 4월에 기존 주기였던 마지막 주(26-27일)로 돌아왔습니다. 다 한줄 확인했습니다. 질문 1. 5월에 중반에 관계 후 정확히 26일에 생리, 6월도 정확히 26일에 생리가 시작되었다면 부정출혈이 아니라 생리 맞죠? 임테기 안 해도 되죠? 2. 관계 후 혈액이 생리주기에 나온다면 임신이 안 된것으로 알고 임테기 굳이 안 해봐도 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