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문성교 후 항문내시경 받아도 HIV 감염 가능성 있나요?
어제 항문성교를 했습니다. 상대방은 콘돔을 꼈고 제 항문에서는 피가 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두려운 마음에 항문외과에 가서 항문내시경을 받아 이상없다는 소견을 받았습니다. 이러면 항문을 통한 HIV감염 확률은 얼마나 되나요?
어제 항문성교를 했습니다. 상대방은 콘돔을 꼈고 제 항문에서는 피가 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두려운 마음에 항문외과에 가서 항문내시경을 받아 이상없다는 소견을 받았습니다. 이러면 항문을 통한 HIV감염 확률은 얼마나 되나요?
항문성교 후 HIV 감염 가능성은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상대방이 콘돔을 사용했고, 항문에서 피가 나지 않았다면 감염 위험은 상당히 낮아집니다. 콘돔은 HIV를 포함한 성병 전파를 막는 데 매우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콘돔 사용이 100% 안전을 보장하지는 않습니다. 콘돔이 제대로 사용되지 않았거나, 사용 중에 손상되었다면 감염 위험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항문내시경은 항문과 직장의 내부를 검사하는 의료 절차로, 항문이나 직장의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지만, HIV 감염 여부를 직접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검사는 아닙니다. HIV 감염 여부를 확인하려면 특별한 혈액 검사나 타액 검사가 필요합니다. 만약 상대방의 HIV 감염 여부가 확실하지 않고, 감염에 대한 걱정이 있다면, 가능한 빨리 성병 전문 클리닉이나 병원을 방문하여 상담을 받고, 필요한 경우 HIV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HIV에 대한 초기 검사는 노출 후 3주에서 4주 사이에 실시할 수 있으며, 확실한 결과를 위해서는 노출 후 3개월이 지난 후에 다시 검사를 받는 것이 권장됩니다. HIV가 우리 몸에 들어와도 6~12주 정도가 지나야 항체가 형성되고, 항체가 형성되어야 검사를 통해 감염 여부를 알 수 있어요. 따라서 의심 성교 후 12주 이내에 선별 검사를 받는 경우에는 HIV 감염이어도 음성이 나올 수 있어요. 또 HIV 감염이 아니더라도 선별 검사에서 양성으로 나오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2~3차의 확정 진단 검사를 추가로 시행해야 한다는 점 참고해주세요.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성관계 시 콘돔을 올바르게 사용하고, 정기적인 성병 검사를 받는 것입니다. 이는 자신과 파트너의 건강을 보호하는 가장 좋은 방법 중 하나입니다.
꼭 확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