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돔 사용 후 곤지름 발생 가능성과 증상 지연 가능성은 어떻게 되나요?
1년 6개월 전 사귀었던 여자친구와 관계할때 콘돔없이 관계를 하였고 한달전에 콘돔을 끼고 한번 관계를 했는데 곤지름이 났습니다 콘돔이 씌워진 성기 기둥쪽에 곤지름이났는데 콘돔을 끼고 곤지름이 날수있나요? 아니면 이렇게까지 늦게 증상이 나타나기도하나요?
1년 6개월 전 사귀었던 여자친구와 관계할때 콘돔없이 관계를 하였고 한달전에 콘돔을 끼고 한번 관계를 했는데 곤지름이 났습니다 콘돔이 씌워진 성기 기둥쪽에 곤지름이났는데 콘돔을 끼고 곤지름이 날수있나요? 아니면 이렇게까지 늦게 증상이 나타나기도하나요?
곤지름은 인유두종바이러스(HPV 6, 11, 16, 18형 등)에 의해 발생하게 되며 성기 부위에 생기는 사마귀의 일종이에요. 콘돔을 사용하더라도 콘돔이 완전히 덮지 않는 피부 부위를 통해 HPV에 노출될 수 있으며, 바이러스가 피부의 미세한 상처를 통해 전염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콘돔을 사용했음에도 곤지름이 생길 수 있습니다. HPV 감염 후 곤지름이 나타나기까지의 잠복기는 성교 후 3주에서 8개월로 개인에 따라 다를 수 있다고 해요. 따라서 1년 6개월 전의 무보호 성관계가 원인일 수도 있고, 최근의 관계가 원인일 수도 있습니다. 곤지름이 발견되었다면 성병 전문의나 피부과 전문의를 찾아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으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병변 부위를 제거하고 재발률을 감소시켜 암 발생 가능성을 줄이는 것이 치료법이라고 해요. HPV 감염은 다른 성병과 함께 전염될 수도 있으므로, 다른 성병 검사도 함께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성관계 후 곤지름 발생시기가 궁금합니다. 곤지름이 있는 사람과 성관계 후 곤지름 전염 되면 언제쯤 피부병변이 발생하는지 궁금합니다.
가다실 9 다 접종 완료한 상태에서 콘돔 사용하여 관계했을때 곤지름이나 다른 성병 전염 가능성이 어느정도인가요?
1.곤지름이 질 속이나 자궁경부, 항문 안 처럼 외부에 생기지 않은 경우에는 증상을 못 느끼나요? 아니면 내부에 곤지름이 생기더라도 간지러움 같은 증상을 느끼나요? 2.곤지름 잠복기 최소와 최대 알려주세요 3.곤지름 잠복기가 4년인게 가능한가요? 4.곤지름 잠복기가 3년인게 가능한가요? 5.곤지름 잠복기가 1년 반인게 가능한가요 6.곤지름이 지속되면 암이 되나요? 7.곤지름을 유발하는 저위험군 hpv바이러스는 비성적인 경로로 감염이 가능해도, 암을 유발하는 고위험군 바이러스는 비성적인 경로로의 감염이 불가한가요? 8.마지막 관계 후 1년 6개월이 지났는데 사마귀나 병변이 하나도 나타나지 않았어요 가려움증이나 질염증상조차 생긴 적이 없는데 곤지름 걱정은 안 해도 되나요? 9.성관계 상대 남자는 지금까지 살면서 한 번도 사마귀가 생긴 적이 없다고 해요 그러면 곤지름 걱정 안 해도 되나요? 10.한 번도 사마귀가 생긴 적 없는 남자는 곤지름을 옮기지 않나요?곤지름 감염자가 아닌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