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검사 결과 이상 발견, 어떤 의미인가요?
백혈구2350 호중구29.6% 림프구57.6% 피검사 결과 튀어서 다시 검사받기로했는데 많이 안좋은가요?


백혈구2350 호중구29.6% 림프구57.6% 피검사 결과 튀어서 다시 검사받기로했는데 많이 안좋은가요?
안녕하세요. 실시간 고민 해결사입니다. [가정의학과]에 관한 고민이 있으시군요. 질문에 대해 답변드리겠습니다.
백혈구 수치가 2350으로 낮고, 호중구 비율이 29.6%로 낮으며, 림프구 비율이 57.6%로 높은 상태인 것은 면역 체계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백혈구 수치가 낮다는 것은 감염에 대한 저항력이 떨어질 수 있음을 의미하며, 호중구와 림프구의 비율이 비정상적일 경우 특정 감염이나 혈액 질환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다시 검사를 받기로 한 것은 현명한 결정입니다. 검사 결과가 튀었다는 것은 일시적인 요인에 의한 것일 수도 있으므로, 추가 검사를 통해 정확한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검사 결과에 따라 적절한 치료나 추가 검사가 필요할 수 있으니, 검사를 받은 병원에서 주치의와 상의하여 정확한 진단과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좋겠습니다.
닥터나우가 의료진과 함께 개발하고 파인튜닝한 건강 정보 AI의 답변입니다.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AD
폐암 1cm면, 1기 a1일까요 a2일까요?? 검색해보면 1a1은 '1cm이하'라는 표현을 사용하였는데, 1a2에는 1cm~2cm라고 적혀있어서요. 중의적으로 둘다해당되는 늬앙스로 적혀있는데 검색을 아무리해봐도 저런식으로 적혀있더라구요 ㅠㅠ 검색을 해봐도 답변이 엇갈립니다. 그러나 폐암 관련 생존율이나 논문 작성할때, 분명히 명확한 기준이 있을거로 보이는데 대체 정답이 무엇일까요?? 결론적으로 궁금한점이 11mm부터 a2인가요? 아니면 10mm부터 A2일까요?
비후성 담낭암에도 T1a 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바쁘신와중에도 불구하고 확인 감사합니다. 만 30세 본인 요추 질환 히스토리 입니다 *2015년 12월 요추 추간판탈출증 수핵제거술 *2017년 4월 요추 추간판탈출증 수핵제거술 *2020년 06월 요추 추간판탈출증 수핵제거술 2022년 11월 1일 엉치 통증 및 다리저림으로 MR 촬영하였습니다. 결과가 좀 애매하여 상담요청 드립니다. Sagittarius view T1 T2 Axial view view T1 T2 MR 사진 취합하여 노션으로 링크화 하였습니다. https://mercurial-spruce-373.notion.site/c9af9ebce2a34d6b867011a12fe6325d 다운X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