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경부 저등급 상피내병변 진단 후 다른 검사 결과는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자궁경부 저등급 상피내병변 소견나와서 조직검사 햇더니 만성자궁경부염에 의한 상피내화생이 나왔습니다 타병원에서는 세포진 검사만 다시 했더니 반응성 세포변화가 나왔구요 이형성증 1단계인가요 ? 1)상피내화생도 전구병변 개념인지 궁금하고,2)반응성세포변화도 전구병변인지 아님 양성질환인지 궁금합니다...
자궁경부 저등급 상피내병변 소견나와서 조직검사 햇더니 만성자궁경부염에 의한 상피내화생이 나왔습니다 타병원에서는 세포진 검사만 다시 했더니 반응성 세포변화가 나왔구요 이형성증 1단계인가요 ? 1)상피내화생도 전구병변 개념인지 궁금하고,2)반응성세포변화도 전구병변인지 아님 양성질환인지 궁금합니다...
자궁경부 저등급 상피내병변(LSIL)은 경미한 세포 변화를 나타내며, 이는 자궁경부암의 초기 단계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조직검사 결과 만성 자궁경부염에 의한 상피내화생이 나왔다면, 이는 염증에 의한 변화로 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전구병변으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반응성 세포변화는 세포 모양의 변화가 생긴 것으로, 상처나 호르몬의 변화가 있을 때도 나타날 수 있어요. 이는 전구병변보다는 양성 질환에 가깝습니다. 이형성증 1단계(경미한 이형성증, CIN1)는 LSIL과 유사한 개념으로, 대부분의 경우 자연적으로 회복될 수 있으나, 정기적인 추적 관찰이 필요합니다. LSIL 진단을 받았을 경우, 일부에서 자궁경부이형성증이 나타나기도 하므로 3~6개월 후 추적검사를 할 것을 권장하고 있어요. 정확한 진단과 치료 방향은 담당 의사와 상의하여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일상 속 충분한 휴식, 균형잡힌 식사, 스트레스 및 수면 관리 등의 생활습관 개선을 권장드려요.
꼭 확인해주세요.
국가검진에서 저등급 상피내병변의심소견 나와서 조직검사 했는데 결과는 만성 자궁경부염으로 인한 상피화생이 나왔습니다 . 이것은 흉터조직같은건가요 아니면 위암의 장상피화생같이 암으로 가기위한 전구병변같은 개념인가요 ? 이형성증으로 가기위한 전구병변인지 아니면 상관없는건지 개념이 궁금합니다..
자궁경부암검사결과편평상피세포이상의심되며HPV고,저위험군양성 이후에 조직검사를했는데 자궁경부조직검사결과중증이형성증,고등급상피내병변 결과가 이렇게 나왔어요.. 이거 성병인건가요?
자궁경부 상태가 hsil로 고등급병변 상태인데 액상세포진 암검사 에는 반응성 세포변화로 진단이 내려질 수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