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내시경을 할 필요는 없을까요?
어제 할때 전문의가 저보고 장이 정결이 그렇게 잘 된건아니고 배변이 좀 있었다면서 다음부턴 장정결에 신경써주면한다고 들었습니다 그런데 직장부터 맹장까지 다했습니다 용종1개 발견해서 제거했고요 물어보니 종양없었다는데 조만간 대장내시경을 할 필요는 없을까요?
어제 할때 전문의가 저보고 장이 정결이 그렇게 잘 된건아니고 배변이 좀 있었다면서 다음부턴 장정결에 신경써주면한다고 들었습니다 그런데 직장부터 맹장까지 다했습니다 용종1개 발견해서 제거했고요 물어보니 종양없었다는데 조만간 대장내시경을 할 필요는 없을까요?
대장내시경은 대장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고, 용종이나 암 등의 이상을 조기에 발견하기 위한 중요한 검사로 알려져 있어요. 용종을 발견하여 제거하셨다면, 그 용종의 조직검사 결과에 따라 추후 관리 계획이 달라질 수 있어요. 일반적으로 용종이 양성일 경우, 대장내시경을 통한 용종 제거 후에는 정기적인 추적 관찰이 필요하다고 알려져 있어요. 대장내시경을 다시 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는 용종의 크기, 수, 조직학적 유형, 가족력, 개인의 위험 요소 등을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전문의가 장 정결 상태가 완벽하지 않았다고 언급하셨지만, 직장부터 맹장까지 검사를 완료하셨다면, 급한 문제는 없어 보여요. 그러나 정확한 조직검사 결과와 개인의 위험 요소를 고려하여 전문의와 상의하여 다음 대장내시경 검사 시기를 결정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만약 용종이 양성이고, 고위험군에 속하지 않는다면, 일반적으로 3-5년 후에 추적 대장내시경을 권장합니다. 하지만 개인의 상황에 따라 이 시기는 달라질 수 있으므로, 담당 전문의의 권고를 따르는 것이 중요해요. :)
꼭 확인해주세요.
어제 한달간의 혈변과 복통 구토 설사로 병원에 갔는데 치핵때문이라고 하더군요 근데 그 전 병원에서는 치질이나 치핵이 아니니 큰병원에서 대장 내시경을 해보라고 하셔서 간거였는데 대장 내시경을 할 필요가 없다는데 괜찮을까요?
변이 느리게 나오고 변의 신호도 가끔 정확하게 느껴지지 않을 때가 많습니다. 변이 부드럽고 매끈하거나 설사를 볼 때도 변이 느리게 나옵니다. 변 한 덩어리가 나오면 끊겨서 이어서 안 나와서 화장실을 너무 오래 있게돼요. 왜냐하면 항문에서 아직 변이 나올려는 느낌이 있어서 조금 더 볼려고 오래 있어요. 변을 보고 나오면 괜찮다가 몇 시간 후 또 똑같은 마려운 느낌이 또 들어서 화장실을 가면 느리만 나옵니다. 계속 이런 일상생활이 너무 힘든데요. 내과에선 다들 대장내시경 해 보는게 어떻겠냐고 조언을 해 주셨어요. 제 증상으론 너무 심하진 않지만 계속 이렇게 생활 할 순 없어서 대장내시경을 해 보는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74년여성인데요-'2024년에--9월에-대장내시경을했는데요--선종이-'나왔는데요''--병원에서의사선생님-꼭(2년)있다가-'대장내시경을하라고하는데요-'--2년이면--2025년에해야돼나요-?--아니면-2026년에--대장내시경을해야돼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