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경부이형성증 cin1 진단 시 원추절제술 vs 추적검사, 어떤 것이 좋을까요?
자궁경부이형성증 cin1인 경우 보통 원추절제술을 하나요? 아니면 추적검사를 하나요? cin1이 자연치유되기 위해 집에서 할 수 있는 습관은 어떤게 있을까요? cin1일경우 임신하고 10개월동안 진행이 되면 어떡하나요? ㅜㅠ
자궁경부이형성증 cin1인 경우 보통 원추절제술을 하나요? 아니면 추적검사를 하나요? cin1이 자연치유되기 위해 집에서 할 수 있는 습관은 어떤게 있을까요? cin1일경우 임신하고 10개월동안 진행이 되면 어떡하나요? ㅜㅠ
자궁경부 이형성증 CIN1 진단을 받으셨군요. CIN1은 경미한 세포 변화를 의미하며, 대부분의 경우 자연적으로 호전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CIN1의 경우 즉각적인 원추절제술보다는 6개월마다 정기적인 검진을 시행하여 경과를 관찰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이는 세포 변화가 진행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기 위함입니다. 원추절제술은 보다 심각한 CIN2 또는 CIN3에서 고려되는 치료 방법입니다. CIN1에서는 대개 6개월에서 1년에 한 번씩 파파니콜라우 검사(Pap smear)와 인유두종 바이러스(HPV) 검사를 통해 추적 관찰을 하게 됩니다. CIN1이 자연치유되기 위해 집에서 할 수 있는 습관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1. 금연: 흡연은 자궁경부암과 관련된 위험 요소 중 하나입니다. 2. 건강한 식습관: 과일과 채소를 포함한 균형 잡힌 식단을 유지합니다. 3. 정기적인 운동: 면역 체계를 강화하고 전반적인 건강을 향상시킵니다. 4. 스트레스 관리: 스트레스는 면역 체계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적절한 스트레스 관리가 중요합니다. 5. 충분한 수면: 면역 체계를 강화하고 세포의 회복을 돕습니다. 임신 중 CIN1이 진행되는 경우, 대부분의 임신 중 자궁경부 이형성증은 임신으로 인한 변화와 관리가 필요한 상태 사이에서 신중하게 평가되어야 합니다. 임신 중에는 치료보다는 추적 관찰을 우선시하며, 임신이 끝난 후에 추가적인 평가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임신 기간 동안 CIN1이 진행될 가능성은 낮지만, 정기적인 산부인과 검진을 통해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CIN1 상태에서 임신을 계획하고 계시다면, 산부인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개인의 상태에 맞는 최선의 관리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좋습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자궁경부 이형성증1단계원추절제술증1단계2년동안자궁경부 이형성증1단계원추절제술하면완치될수있나요
안녕하세요 . 건강검진으로 자궁경부암 검사 받은후에 "자궁경부세포검사결과 고등급자궁경부이형성증(HSIL)입니다. 우혁준 원장님께 자궁경부원추절제술 상담" 필요하다고 연락받았습니다 절제술이라고 하여 놀란 마음에 여러 정보을 찾아보니 세포검사후 조직검사후에 결과에따라 원추술진행으로 알고 있는데 전 조직 검사 따로 안했는데 세포 검사만으로도 C1,C3이런 단계 다 알수 있나요?조직 검사 없이 바로 원추술 가능한건가요??
상피세포 결과 cin1 였으나 조직검사 결과는 cin2가 나왔습니다 고위험군인 hpv 16번이 나오기도 나왔고, 작년 건강검진 상에서는 자궁경부쪽 문제가 없었는데 혹 원추절제술 이후 조직검사 시 cin3 혹은 그 이상, 아니면 병변 제거 후에도 남아있을 가능성이 높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