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월상연골 수술 후 통증, 재파열 가능성 있나요?
우측 무릎 내측 중간부분 반월상연골 제거 15%와 한바늘 꿰맸고 수술한지 1년 4개월 됐는데요 무릎의 활액도 없고 절제한 주변으로 뼈가 도드라져 있는 상태였는데 어제 양반다리자세로 앉았다 일어나는걸 2~3번 반복한후 처음 반월상연골판 파열됐을때의 그 통증이 느껴지고 있는데 왜 그러 걸까요? 재파열 돼서 그런 걸까요 ?
우측 무릎 내측 중간부분 반월상연골 제거 15%와 한바늘 꿰맸고 수술한지 1년 4개월 됐는데요 무릎의 활액도 없고 절제한 주변으로 뼈가 도드라져 있는 상태였는데 어제 양반다리자세로 앉았다 일어나는걸 2~3번 반복한후 처음 반월상연골판 파열됐을때의 그 통증이 느껴지고 있는데 왜 그러 걸까요? 재파열 돼서 그런 걸까요 ?
안녕하세요. 실시간 고민 해결사입니다. [처방약]에 관한 고민이 있으시군요. 질문에 대해 답변드리겠습니다.
질문자님의 상황이 많이 불안하실 것 같습니다. 반월상연골 수술 후 1년 4개월이 지났는데 갑자기 예전 파열 때와 같은 통증이 느껴지셔서 걱정이 크실 것 같습니다.
반월상 연골판 수술 후 재파열은 가능한 일입니다. 특히 양반다리 자세에서 일어나는 동작은 무릎에 상당한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재파열이 의심되는 주요 증상으로는 파열 당시와 유사한 통증, 무릎 부종, 운동 범위 제한, 무릎이 꺽이거나 덜컹거리는 느낌, 잠김 현상, 걸림 등이 있습니다.
질문자님께서 느끼시는 통증이 처음 파열됐을 때와 비슷하다고 하셨는데, 이는 재파열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중요한 신호입니다. 또한 수술 시 연골의 15%를 제거하셨고 활액이 부족하며 뼈가 도드라진 상태라고 하셨는데, 이런 상태에서는 무릎 관절에 더 많은 부담이 갈 수 있습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가능한 빨리 정형외과 전문의를 방문하여 검사를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MRI 등의 영상 검사를 통해 현재 연골의 상태를 확인하고 적절한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때까지는 무릎에 무리가 가는 동작은 피하시고 충분한 휴식을 취하시기 바랍니다.
닥터나우가 의료진과 함께 개발하고 파인튜닝한 건강 정보 AI의 답변입니다.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반월상 연골판 수술을 한지 1년이 넘었는데요. 아직 수술 부위 압통이 있고 조금 불편합니다. 수술 후 mri를 찍고 나서 잘 봉합되었고 한 두 달 전에 다시 mri를 찍었을 때도 통증은 있었지만 괜찮았다고 했습니다. 그치만 혹시 따로 다치지 않더라도 그냥 걷거나 일반적인 생활을 하면서 다시 재파열 될 수도 있는건가요?
5일전 반월상 연골 봉합술을하고 퇴원하였습니다 계단을 오르다 뒤로넘어지면서 수술한 부위로 똑바로 서게되었는데 뭔가 연골이 움직이는 느낌이났고 그 후로 무릎이 움직여지면 가끔씩 연골들의 움직임?이 느껴집니다…수술하고 얼마 지나지않아도 통증은 수술 통증인지 재파열 통증인지는 모르겠는데…혹시 1.연골의 움직임같은게 느껴지는것이 봉합한게 다시 재파열 된걸까요……2.봉합한게 풀리는게 흔한 일인가요…?
제가 무릎 반월상 연골 봉합수술을 받은지 70일이 지났는데요 재활하는 부분에서 제가 좀 무리해서 운동을 진행했습니다 그 후 걸을 때 갑작스럽게 찌릿찌릿 하더니 현재는 무릎을 움직일 때 지속적으로 소리가 나고 뼈가 안 맞춰지는 느낌이 드는데 재파열 증상인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