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리코박터균 감염 여부와 위 통증 완화에 대한 의문
헬리코박터균 혈액검사 수치가 낮게 나왔으면 헬리코박터균 감염 확률이 낮나요? 위 통증이 심했을때 제균제 먹고 좀 완화된것의 이유가 무엇인가요? 식도 문제인가요?
헬리코박터균 혈액검사 수치가 낮게 나왔으면 헬리코박터균 감염 확률이 낮나요? 위 통증이 심했을때 제균제 먹고 좀 완화된것의 이유가 무엇인가요? 식도 문제인가요?
헬리코박터균 혈액검사 수치가 낮게 나왔다면 헬리코박터균 감염 확률이 낮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나 혈액검사는 과거의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데 사용되기 때문에, 현재 감염 여부를 정확히 알기 위해서는 위내시경 검사나 요소호기 검사와 같은 추가적인 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위 통증이 심했을 때 제균제를 복용하고 증상이 완화되었다면, 이는 헬리코박터균 감염이 원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헬리코박터균은 위염이나 위궤양 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제균제를 통해 균을 제거하면 이러한 증상이 호전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식도 문제일 가능성도 있으므로, 정확한 진단을 위해 전문의와 상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위염, 위식도역류질환과 같은 위 질환은 치료 기간이 오래 걸리고 재발이 잦으므로, 증상이 지속되거나 재발한다면 내과에서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위내시경하면서 헬리코박터균 검사도 같이 하였습니다. 1. 헬리코박터균 감염 여부를 알기위해 위점막을 일부 떼어내나요(조직검사)? 2. 위내시경 후 이틀째 위에 통증(속쓰림, 팽만감 등)이 있는데 위점막을 일부 떼어냈기 때문에 생기는 일시적인 증상일 수도 있나요?
헬리코박터균이 사람과 사람 사이에 걸린다고 하는데요 그럼 균을 보유한 사람이랑 찌개를 같이 떠먹거나 뽀뽀를 해도 걸리겠죠? 그러면 여기서 질문!! 단 한번이라도 저런 행동을 했다면 100%걸리는건가요? 또 걸린사람과 마주보고 대화중 상대편 침이 내 입으로 튀거나 입안으로 들어오면 100% 걸리나요?
아버지가 내시경을 받으셨는데 위에 커다란 혹이 있다고 진단 받으셨습니다. 조직 검사는 진행했으며 일주일 후에 결과가 나온다는데, 암일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에 여쭙습니다. 1) 암일 경우, 진행도는 몇 기일까요? 2년 전에 내시경 받으셨을 땐 아무 이상 없다고 나왔습니다. 24개월 동안 진행되었다고 치면, 몇 기일까요? 2) 암이 아닐 경우, 수술하면 나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