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유리체박리 바이스링 증상은 사라질 수 있나요?
후유리체박리로 큰 바이스링이 생겼습니다 날아다니지 않고 고정됐으며 눈동자움직임에 따라 흔들거리는데요 이것도 흐려지거나 퍼지거나 없어질수 있는지 기간은 평균과 최대 얼마정도 걸리는지 궁금합니다
후유리체박리로 큰 바이스링이 생겼습니다 날아다니지 않고 고정됐으며 눈동자움직임에 따라 흔들거리는데요 이것도 흐려지거나 퍼지거나 없어질수 있는지 기간은 평균과 최대 얼마정도 걸리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실시간 고민 해결사입니다. [안과]에 관한 고민이 있으시군요. 질문에 대해 답변드리겠습니다.
후유리체박리로 인한 바이스링 증상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할 수 있습니다. 많은 경우 뇌가 이러한 부유물에 적응하여 점차 덜 인지하게 되는 '신경 적응' 현상이 일어납니다.
바이스링이 완전히 사라지는 경우는 드물지만, 3-6개월 정도 지나면 대부분의 환자들은 증상을 덜 느끼게 됩니다. 일부 환자들은 1년 이상 지나도 증상이 남아있을 수 있으나, 일상생활에 큰 지장을 주지 않는 정도로 적응하게 됩니다.
다만 후유리체박리는 망막박리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갑자기 비문증이 심해지거나, 빛이 번쩍이는 증상, 시야의 일부가 가려지는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안과 진료를 받으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기적인 안과 검진을 통해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좋습니다.
닥터나우가 의료진과 함께 개발하고 파인튜닝한 건강 정보 AI의 답변입니다.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유리체출혈과 유리체박리는 같은뜻인가요?
1. 안과에서 진행하는 망막 정밀검사를 통해 후유리체 박리여부를 알 수 있나요? 2. 광시증에 있어 안과에 가보니 꽉 채워진 유리체가 벽에서 자연스럽게 분리가 되는 중이고, 일부 덜 분리가 된 부분에서 번쩍번쩍 빛이 나는 거라고 하셨는데 이게 후유리체 박리를 의미하는건가요?
비문증 이라는게 정식진단명인가요? 아니면 유리체박리나 유리체혼탁이 정식명칭인가요(의사가 챠트에 쓰는) 이 세가지는 결국 같은말인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