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구피임약 복용 중단 후 부정출혈이 멈췄다가 다시 생기는 경우가 있을까요?
1월 16일부터 16일간 31일까지 경구피임약 복용후 복용중단 하였는데 일주일 정도 부정출혈이 있다가 멈췄었습니다 그런데 현재 2월 11일인 오늘 소변을 본후 묻어나오는 소량의 갈색 냉이있는데 부정출혈이 멈췄다 다시 생기는 경우도있나요
1월 16일부터 16일간 31일까지 경구피임약 복용후 복용중단 하였는데 일주일 정도 부정출혈이 있다가 멈췄었습니다 그런데 현재 2월 11일인 오늘 소변을 본후 묻어나오는 소량의 갈색 냉이있는데 부정출혈이 멈췄다 다시 생기는 경우도있나요
경구피임약 복용 후 부정출혈이 나타날 수 있어요. 피임약 복용 첫 달에는 복용자의 10~30%가, 셋째 달에는 복용자의 10% 이하가 부정출혈을 경험한다고 해요. 피임약 복용을 중단하면 호르몬 수준의 변화로 인해 자궁 내막이 탈락하면서 출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금단 출혈'이라고도 불리며, 피임약 복용을 중단한 후 몇 일에서 일주일 정도 지속될 수 있습니다. 1월 16일부터 31일까지 피임약을 복용하고 중단한 후 일주일간 부정출혈이 있었다면, 그것은 금단 출혈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 후 출혈이 멈췄다가 2월 11일에 다시 갈색 냉이 나오는 것은 부정출혈이 다시 시작된 것일 수 있습니다. 갈색 냉은 오래된 혈액이 나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정상적인 현상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부정출혈이 지속되거나, 양이 많거나, 통증이 동반되는 경우에는 의학적 평가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특히 피임약 복용을 중단한 후 생리 주기가 정상으로 돌아오는 데 시간이 걸릴 수 있으므로, 몇 개월 동안은 생리 주기가 불규칙할 수 있습니다. 만약 출혈이 지속되거나 다른 증상이 나타나면, 산부인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조치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여자친구가 경구피임약을 먹다가, 부정출혈이 나서 병원에 갔더니 병원에서 경구피임약 복용을 일시 중단하라고 해서 안먹었더니 며칠 후 부정출혈이 멈추었습니다. 그런데 어제 다시 생리는 아닌 것 같은데 피가 나온다고 하더라구요. 복용 안하던 기간에 콘돔없이 하고, 질외사정을 하긴 했습니다. 임신이 아니더라도 이런 경우(피가 멎었다가 다시 나는 경우)도 있나요?
경구피임임약을 세 달 동안 먹다가 한 달 끊고 다시 먹는데 또 다시 부정출혈이 생길 수가 있나요…? 아예 처음 먹었을 때도 부정출혈이 있었는데 한 달 안 먹었다고 지금 또 부정출혈이 나오는 게 맞나요?ㅜㅜ 피임약은 피임 목적으로 복용 중입니다…
경구피임약 복용중인데 피임효과가 떨어져서 부정출혈이 생기는 건가요? 아니면 호르몬 불균형 때문인가요? 사후피임약을 복용하느라 경구피임약을 잠시 중단했고 생리 시작하면서 다시 경구피임약 복용 시작했는데 피임효과가 떨어져서 부정출혈이 난건지, 부정출혈과 피임효과의 상관관계가 궁금합니다.